네이버, 2분기 영업이익 4727억원 사상 최대 실적...전년比 26.8% ↑
주진 기자
jj72@cwn.kr | 2024-08-09 16:54:20
서치플랫폼·커머스·핀테크 등 고른 성장
최수연 대표 "하반기 AI 활용해 역량 강화"
[CWN 주진 기자] 네이버는 올해 2분기 영업이익이 4727억 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6.8% 증가하며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전 사업 부문의 고론 호조에 힘입어 영업이익은 작년 1분기 이후 6분기 연속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다.
네이버는 8일 2분기 연결 기준 매출액이 작년 동기 대비 8.4% 늘어난 2조6105억원, 영업이익은 26.8% 늘어난 4727억원을 기록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공시했다.
조정 EBITDA(법인세·이자·상각 전 영업이익)는 작년 동기 대비 23.9%, 전 분기 대비 9.9% 증가한 6384억원으로 사상 최대치를 달성했고 순이익은 3321억원으로 15.8% 늘었다.
매출은 주요 사업 부문이 고르게 성장했고 클라우드 사업도 호조를 보였다.
사업 부문별 매출은 △서치 플랫폼 9784억원 △커머스 7190억원 △핀테크 3685억원 △콘텐츠 4200억원 △클라우드 1246억원이다.
서치 플랫폼은 플레이스광고, 검색광고 등 상품 개선 및 타게팅 고도화 효과에 힘입어 작년 동기 대비 7.5%, 전 분기 대비 8.1% 증가했다.
커머스는 '도착보장' 및 '브랜드솔루션' 사용률 증가, '크림'(KREAM)의 지속적인 성장에 힘입어 작년 동기 대비 13.6%, 전 분기 대비 2.2% 성장했다. 네이버 전체 커머스 거래액은 작년 동기 대비 4.1% 성장한 12조3000억원을 달성했다. 네이버플러스 멤버십이 이용자에게 실질적 가치를 강화하며 충성도 높은 고객 확대에 기여하고 있다고 네이버는 설명했다.
핀테크는 작년 동기 대비 8.5%, 전 분기 대비 4.1% 증가했다. 2분기 네이버페이 결제액은 외부 생태계가 지속 확장됨에 따라 작년 동기 대비 20.1%, 전 분기 대비 5.2% 성장한 17조5000억원을 기록했다. 외부 결제액 비중이 사상 처음으로 전체 결제액의 50%를 넘어섰다.
다만 콘텐츠는 엔저 여파로 작년 동기 대비 0.1%, 전 분기 대비 5.9% 감소했다. 환율 변동 등 효과를 제거한 동일 환율 기준으로는 웹툰의 글로벌 매출이 작년 동기 대비 11.1% 성장했다. 일본 지역의 경우 역대 최고 유료 사용자 수(MPU)를 기록하는 등 성장세가 이어졌다.
클라우드는 AI 관련 매출 발생과 라인웍스 유료 ID 수 확대 등에 힘입어 작년 동기 대비 19.2%, 전 분기 대비 6.5% 증가했다. 네이버는 지난달 사우디아라비아의 디지털트윈(가상모형) 플랫폼 구축 사업에 착수했다.
최수연 네이버 대표는 컨퍼런스 콜에서 "하반기에는 인공지능(AI)과 데이터를 활용해 핵심 사업의 상품 및 플랫폼의 역량 강화를 가속화하고, 기술 기반의 새로운 사업 기회를 선제적으로 발굴해 나가는 데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라인야후 사태와 관련한 지분 변화 우려에 대해서는 "LY(라인야후) 이슈는 상반기 총무성 지도가 보안 거버넌스에 따른 우려라는 게 명확해지면서 최대 주주 변경이나 라인과의 사업 축소 우려는 하지 않고 기존 전략을 유지하는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며 "이번에 총무성 공표에 따라 (보안) 거버넌스 가이드라인이 명확해진 부분 있어서 이 부분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사업 협력 모색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CWN 주진 기자
jj72@cwn.kr
[ⓒ CWN(CHANGE WITH 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