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짙어지는 春鬪①] 잔인한 3월 될까…삼성, 노사 진통에 속앓이
소미연 기자
pink2542@cwn.kr | 2024-03-13 05:00:42
각사 통상임금 줄소송 예고에 노조 리스크 확대
[CWN 소미연 기자] 삼성그룹 안팎으로 전운이 고조되고 있다. 노사 간 임금 협상이 난항을 겪으면서 파업 가능성에 무게가 실리는 모양새다.
우려스러운 부분은 동시다발성이다. 핵심 계열사인 삼성전자를 비롯해 삼성바이오로직스, 삼성디스플레이, 삼성전기 등 복수의 노동조합이 쟁의권 확보를 위한 절차를 밟으며 강경한 입장을 나타냈다. 계열사별 집단소송도 예고됐다. 노사 상생이 최대 과제로 부상하면서 그룹 총수인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의 상생 경영도 시험대에 올랐다.
초미의 관심은 삼성전자다. 오는 14일 3차 조정회의 결과 여부에 따라 노조 파업이 결정될 전망이다. 파업이 현실화되면 1969년 창립 이후 55년 만에 첫 사례가 된다. 삼성전자는 이 회장의 '무노조 경영' 폐지 선언 이후 1년여 만인 2021년 8월 노사 단체협약 체결로 노조 활동을 본격화했다. 해마다 중앙노동위원회로부터 조정 중지 결정을 받고 쟁의권을 확보했지만 실제로 파업을 강행하진 않았다.
하지만 올해는 분위기가 사뭇 다르다. 대표교섭권을 가진 전국삼성전자노동조합(전삼노)뿐 아니라 DX(디바이스경험)부문 직원 중심으로 결성된 DX노조까지 노사 줄다리기에 뛰어들며 팽팽한 신경전을 이어가고 있다. DX노조는 전삼노의 반도체 부문 중심 운영에 대한 반발로 지난해 1월 설립됐다. 출범 1년여 만에 조합원 6000명을 돌파하며 전삼노에 이어 두 번째로 큰 노조로 자리잡았다.
회사 입장에선 어느 쪽도 소홀할 수가 없다. 3차 조정회의를 앞둔 전삼노는 조정 중지 결정을 고려해 서초사옥을 비롯 수원, 기흥, 평택 등 주요 사업장에 집회신고를 이미 마친 것으로 알려졌다. 조정이 이뤄지지 않을 경우 파업까지는 아니더라도 노조 차원에서 쟁의에 들어갈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DX노조는 '삼성그룹 초기업 노동조합(초기업 노조)'에 합류하는 한편 조합원 대상으로 소송단 모집에 나섰다. 소송의 핵심은 통상임금 재산정이다.
통상임금은 근로자에게 정기적·일률적·고정적으로 지급되는 임금으로, 연장·야간·휴일근로수당 산정에 기준이 된다. 삼성전자 DX노조 외에도 초기업 노조에 속한 계열사 노조 모두 통상임금 집단소송을 준비 중이다. 삼성디스플레이 열린노조와 삼성바이오로직스 상생노조는 소송단 모집을 완료했고, 오는 5월 합류 예정인 삼성전기 존중노조는 소송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삼성화재노조는 지난해 11월 소송에서 승소했다.
이번 소송을 주도하는 초기업 노조는 그룹 산하 4개 계열사 노조를 아우르는 통합 노조다. 각 계열사 노조가 지부 형태로 운영되는데 △삼성전자 DX지부 6100명 △삼성디스플레이 열린지부 4100명 △삼성화재 리본지부 3400명 △삼성바이오로직스 상생지부 2200명의 조합원이 참여해 총 1만5800여명에 달한다. 삼성전기 존중노조 조합원 2100명까지 더하면 삼성전자 최대 규모 노조인 전삼노와 맞먹는다. 전삼노는 3월 들어 조합원 수 1만9000명을 돌파했다.
연대를 넘어 기업 간 벽을 넘어선 통합 노조 설립은 처음이다. 통합 노조에 대한 관련 규정이 없어 연대 교섭 요구에 회사가 응해야 할 법적 의무는 없지만, 규모와 성격을 감안하면 그룹에 미칠 영향이 작다고 볼 수 없다. 초기업 노조는 지난 2월 19일 출범 당시 "삼성전자 실적을 기준으로 임금 기본인상률 가이드라인이 만들어져 왔다"며 "각 계열사의 업황, 인력구조, 사업이익과 별개로 획일적으로 통제받는 지금의 불합리한 노사관계에서 벗어나겠다"고 선언했다.
첫 단추는 역시 삼성전자가 될 전망이다. 3차 조정회의 결과에 이목이 쏠리는 이유다. 앞서 노조 측은 "2차 조정회의에서 사측이 일부 개선 안건을 제출해 한 번 더 논의를 하기로 했다"며 3차 조정회의에서 회사 측이 제시할 최종안에 기대를 나타냈다. 양측은 그동안 본교섭 7번을 포함해 9차례 교섭을 진행했다. 하지만 임금 인상률에 이견을 좁히지 못했다. 회사 측은 기본인상률 2.8%를 제안했으나, 노조 측은 8.1%를 요구하고 있다.
CWN 소미연 기자
pink2542@cwn.kr
[ⓒ CWN(CHANGE WITH 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