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르마, 민·군기술협력사업 선정돼 공통 필요 기술 개발

김지영

desk@codingworldnews.com | 2022-08-10 16:40:20

IoT 및 양자 보안 전문 기업 노르마가 민군기술협력사업의 연구 과제 수행 기업으로 선정됐다. 이로써 약 40억 원의 예산을 지원받아 민과 군을 위한 IoT 보안 솔루션을 개발한다.

노르마는 최근 산업통상자원부와 방위사업청이 공동 투자하여 추진하는 국방과학연구소 민군협력진흥원의 민군겸용기술개발사업의 주관연구개발기관으로 선정됐다. 지난해 민·군겸용기술개발사업 기술수요 조사 때 제안한 기술 내용을 고도화했다. 올해 사업 공고 시 정식으로 연구개발계획서 제출과 발표과정을 거쳐 최종 선정됐다.

주관연구 개발기관인 노르마를 중심으로 한국과학기술원 사이버보안연구센터(KAIST CSRC), 코드마인드,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에이펙스이에스씨(APEX ESC) 등 산학연이 모여 공동 연구를 진행한다. 연구는 2025년까지 총 3년간 39억 4,900만 원을 지원 받아 진행된다.

선정된 과제는 ‘위협 헌팅 기반의 IoT·네트워크 취약점 분석을 통한 이상 징후 탐지차〮단 기술 개발’이다. IoT 보안 모듈이 탑재된 하드웨어 센서 및 어플리케이션과 대시 보드 등을 지원하는 소프트웨어로 구성된다. 탐지 센서가 주변의 다양한 IoT 기기를 스캔하여 취약점 분석 및 이상 징후를 판단한 뒤 위협 내용을 시각화 하여 결과물을 제공하는 솔루션이다.

노르마는 IoT 디바이스 취약점 탐지/분석 자동화 및 통합 솔루션 개발을 담당하며, KAIST CSRC는 위협인자 및 시그니처 학습 기반 탐지 패턴을, 코드마인드는 자가학습형 탐지 및 소스코드 취약점 도구를 연구한다. 또, KISTI는 인공지능 및 사이버위협 인텔리전스 활용 이상행위 탐지 기술을, APEX ESC는 대규모 IoT 디바이스 행위 실시간 가시화 도구 개발 및 최적화 연구를 담당할 예정이다.

기술 개발 성공 시 민간에는 스마트홈, 스마트 오피스 등 다양한 IoT 환경의 보안성이 한층 향상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동시에 군에는 각종 무기 체계 보안 및 기밀 유출 방지를 통해 국가 안보 강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

[ⓒ CWN(CHANGE WITH 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