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관리·부패한 음식 확인, 'OLED 문신' 하나면 만사 오케이!
Travis
travis@codingworldnews.com | 2021-03-03 15:55:57
OLED 기술을 이야기하면, 대부분이 스마트폰 혹은 TV 디스플레이를 떠올린다. 그런데, 유럽 연구팀이 OLED 기술을 전자 기기와 TV 이외에 다른 용도로 사용했다.
OLED 문신의 탄생
과학·기술 전문 매체 뉴아틀라스는 유니버시티칼리지런던과 이탈리아기술연구원 소속 전문가가 특별 연구팀을 구성해, 인간의 신체 건강과 음식의 신선도를 확인하는 OLED 문신을 개발한 소식을 보도했다.
연구팀의 이번 OLED 문신은 수천 년 간의 인류 역사에서 예술과 패션 분야에 활용되기만 한 문신을 과학 분야에 최초로 활용한 사례이다.
연구팀은 터치를 기반으로 컴퓨터나 의료 장비와 인터페이스할 수 있도록 OLED 문신에 센서와 서킷을 탑재했다.
OLED 문신 제작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전기장에 노출됐을 때, 빛을 내는 76nm의 전기 발광 중합체로 제작된다. 그리고, 전기 발광 중합체를 절연층으로 보호된 한 쌍의 전극 사이에 두고, 상업용 문신 용지를 씌운다.
완성된 OLED 문신의 두께는 2.3마이크로미터로, 일반 문신처럼 물과 압력을 이용해 부착할 수 있다.
OLED 문신 활용 범위
연구팀은 OLED 문신을 플라스틱병이나 유리, 오렌지, 종이 포장지 등 다양한 곳에 부착할 수 있다고 말한다.
이번 연구 논문의 제1 저자인 유니버시티칼리지런던 프란고 카시알리(Franco Caciali) 교수는 "OLED 문신은 다양한 형태의 문신 전자 제품과 결합해 사용할 수 있다. 반짝이는 문신이나 발광 네일아트 등 패션 분야에도 활용할 수 있다. 헬스케어 분야에서는 환자의 신체 상태가 변할 때, 다른 의료장비와 결합해 신호를 보낼 수 있다"라고 설명했다.
또, 그는 "OLED 문신을 피부 안에 삽입할 수 있다. 빛에 민감한 치료법을 활용해, 암세포를 제거하는 데 유용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이 외에도 자외선에 많이 노출되었을 때, 이를 OLED 문신 사용자에게 알리거나 음식의 유통기한이 지난 것을 경고하는 용도로도 활용할 수 있다.
OLED 문신은 아직 개발 초기 단계이며, 초소형 배터리 탑재 혹은 더 효율적인 OLED 장착과 같이 전력 공급원을 설계 단계에 통합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그러나 연구팀은 앞으로 OLED 문신 기술이 발전해, 여러 용도로 활용될 가능성이 충분하다고 설명했다.
[ⓒ CWN(CHANGE WITH 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