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우코드·노코드 플랫폼, 어떤 방식으로 활용할까?

안하영

yjnetworks1@gmail.com | 2022-10-31 18:20:47

소프트웨어 개발의 미래는 로우코드 및 노크 접근 방식과 밀접하게 연결돼 있다. [사진출처=오픈로우코드]

정보통신 전문매체 데일리그래픽(Daily Graphic)이 코딩의 정의와 분류, 나아가 로우코드와 노코드를 설명했다. 컴퓨터 코드는 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컴퓨터 소프트웨어에 무엇을 해야 하고 어떻게 하면 빠르고 효율적인지 알려주는 일련의 지침을 만드는 것이다.

그렇다면, 로우코드와 노코드는 어떤 역할을 할까? 또, 어떤 방식으로 제 기능을 수행할까?

로우코드와 노코드란?
시간이 지나면서 기존 프로그래밍의 일부 요소는 RAD(Rapid Application Developments)로 발전해 코딩 수준이 감소된 소프트웨어 개발 도구를 제공했다.

이러한 진화는 로우코드 개발 플랫폼(LCDP)과 노코드 개발 플랫폼(NCDP)의 탄생으로 완성됐다. 로우코드, 노코드 개발 플랫폼은 사용자 친화적인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를 기반으로 하는 시각적 소프트웨어 개발 환경으로 설명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빌드 프로세스에서 구성 요소를 끌어 놓을 수 있다.

로우코드 혹은 노코드 접근 방식은 모듈식 접근 방식을 기반으로 하므로 개발자는 기존 프로그래밍 환경에서 요구되는 대로 코드를 한 줄씩 작성할 필요가 없다. 또한 로우코드와 노코드 접근 방식에서 개발자는 타사 응용 프로그램 인터페이스(API)를 사용해 여러 소프트웨어 응용 프로그램을 만들 수 있다.

로우코드와 노코드는 어떻게 작동할까?
LCDP는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응용 프로그램을 개발하거나 사용자를 지정하기 위해 일정 수준의 코딩 기술이 필요하다. 하지만 NCDP는 코딩 기술이나 지식이 필요하지 않다.

NCDP와 LCDP의 기본 원칙은 코딩의 민주화 형태로 소프트웨어와 관련 제품 생성 과정에서 프로그래머가 아닌 이들의 참여를 확대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웹사이트를 구축하려는 경우 전통적으로 웹 사이트를 개발하려면 PHP, CSS, Ruby와 같은 코딩 언어를 배워야 했다. 하지만 NCDP 옵션을 사용하면 코딩 방법을 배우지 않고도 웹사이트를 구축할 수 있다.

NCDP는 간단한 기능이 필요한 사용 사례에 적합하지만 로우코드는 다소 복잡한 소프트웨어 개발을 실행할 수 있다. 코딩 사이의 다리 역할을 하는 로우코드는 빌드 프로세스의 복잡성을 제거해 특히 적응이 핵심인 컨텍스트에 빠르고 효율적인 빌드 프로세스를 가능하게 한다.

로우코드 플랫폼은 어느 정도의 코딩이 필요하므로 코딩 학습 경험이 있는 개발자에게, 노코드 플랫폼은 소프트웨어 개발에 관심이 있지만 학습의 부담을 원하지 않는 비전문가에게 더 적합하다.

또한 코드가 없는 플랫폼은 특정 비즈니스 라인을 위해 설계되는 경향이 있으므로 일반적으로 여러 도메인에서 원활하게 사용하기가 더 어렵다. 반면, 로우코드 플랫폼은 특정 수준의 코딩이 필요하므로 고유한 문맥에 따라 코드를 수정할 수 있으므로 여러 관련 도메인에서 사용할 수 있다.

로우코드와 노코드 플랫폼의 성장은 숙련된 소프트웨어 개발자의 부족, 더 짧은 기간 내에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해야 할 필요성, 코딩 프로세스를 자동화하는 도구의 가용성 증가로 설명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소프트웨어 개발의 미래는 로우코드 및 노코드 접근 방식과 밀접하게 연결돼 있다. 기존 개발자들도 효율성으로 인해 소프트웨어 솔루션을 구축하기 위해 로우코드 접근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즉, 광범위한 코딩이 필요한 소프트웨어 솔루션이 항상 있기 때문에 코딩 기술을 습득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 CWN(CHANGE WITH 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