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당서울대병원, 약물유도 수면 상기도 내시경 AI 학습용 데이터 구축사업 성공

조승범 기자 / 2024-03-20 10:22:34
상기도 내시경 영상의 해석 편차 줄이는 AI 개발에 활용할 듯
▲ 분당서울대병원이 약물유도 수면 상기도 내시경 AI 학습용 데이터 구축 사업에서 최고 등급인 ‘매우 우수’를 획득했다. 이번 사업 관계자들이 중간 보고회에 참석했다. 사진=분당서울대병원

[CWN 조승범 기자] 분당서울대병원이 ‘약물유도 수면 상기도 내시경 인공지능(AI) 학습용 데이터 구축 국책사업’에서 최고 등급을 받았다고 20일 밝혔다.

이번 사업을 이끈 이재서 교수팀(이비인후과)은 해당 데이터가 의료 AI 연구자 등 누구에게나 열려 있어, 다양하게 해석될 수 있는 상기도 내시경 영상의 해석 편차를 줄이는 AI 개발에 활용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설명했다.

약물유도 수면 상기도 내시경은 수면 무호흡증이나 기타 상기도 폐쇄 부위 등 문제를 진단하고 치료하는데 사용되는 시술법이다. 직접 내시경으로 3차원적인 구조를 보는 것이기에 폐쇄 부위를 정확히 평가하고 사용이 편리하다는 점에서 전 세계에서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 중이다.

그러나 숙련되지 않은 검사자라면 표준화와 일치도가 낮은 경우도 있고, 폐쇄 부위와 폐쇄 정도를 정확히 평가하지 못해 적절한 치료가 되지 못할 가능성이 있다.

이에 따라 이재서 교수팀은 상기도 내시경 영상의 일치도를 높일 수 있도록 의료 AI 개발에 활용하기 위한 데이터 수집 국책 과제를 실시했다. 내시경 영상·이미지 데이터를 수집하고 의료 AI 연구자가 잘 활용할 수 있도록 데이터 구축도 진행했다.

이번 사업 결과 약 9000개의 영상 데이터와 4만5000개의 이미지 데이터를 AI 허브에 공개했다. 특히 이 교수팀이 제출한 과제는 다양성, 구문정확성, 의미정확성, 유효성 평가 등 모든 분야에서 최고 등급인 ‘매우 우수’를 받았다.

국책사업 총괄 책임자인 분당서울대병원 이재서 교수는 “이번 과제로 수많은 내시경 영상·이미지를 구축할 수 있었다”면서 “해당 자료는 약물유도 수면 상기도내시경 진단을 표준화하는 의료 AI데이터로 활용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사업은 분당서울대병원이 주관하고 가천대학교, 경북대병원, 동국대학교, 부산대학교, 삼성서울병원, 전남대병원, 에스엔유벤처, 엠티이지가 컨소시엄을 구성해 진행됐다.

CWN 조승범 기자
csb@cwn.kr

[ⓒ CWN(CHANGE WITH 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조승범 기자

조승범 기자 / 산업2부

생활/유통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뉴스댓글 >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