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자체 제안 노선 중 완결성 높은 경우 1차 선도사업으로 선정 계획
협의회 "서울역~당정역 구간 지하화로 도시·국가 발전 견인할 것"
▲ 경부선 지하화 추진협의회가 지난 20일 군포시청에서 '경부선 지하화 선도사업 선정을 위한 공동건의서'에 서명하고 기념 촬영하고 있다. 왼쪽부터 천정욱 동작구 부구청장, 김선수 용산구 부구청장, 문헌일 구로구청장, 하은호 군포시장, 최호권 영등포구청장, 최대호 안양시장, 유성훈 금천구청장. 사진=구로구 |
[CWN 정수희 기자] 경부선 지하화 추진협의회 7개 시·구 자치단체장들이 한자리에 모였다. 협의회는 지난 20일 군포시청에서 경부선 지하화 사업이 정부 선도사업으로 선정돼 신속히 추진되도록 촉구하는 내용의 공동건의서에 서명하고 국토교통부에 전달하기로 했다. 지역을 넘어 국가 발전을 앞당기자는 취지로 해석된다.
경부선 지하화 사업은 지난 2022년 대통령 공약에 포함됐으며 올해 1월 관련법이 제정되면서 가시화됐다.
'철도지하화 및 철도부지 통합개발에 관한 특별법'은 철도를 지하화하고 이를 통해 확보된 철도 부지와 그 주변 지역을 효과적으로 개발해 철도 시설 및 도시 공간의 효율적인 활용을 통해 공공복리 증진과 도시경쟁력 확보에 기여하고자 마련됐다.
이에 따르면 국토부 장관은 철도 지하화 통합개발에 관한 종합계획을 수립·시행해야 한다. 국토부는 22일 종합계획 수립 연구용역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용역기관은 국내 철도 부지 현황과 국내외 철도 지하화 사례를 검토해 노선 선정을 위한 평가 기준 등을 도출할 예정이다.
대상은 지자체가 제안한 노선과 대통령 공약에 있었던 경부선·경인선·경원선 일부 구간 등이다. 정부는 지자체 제안 중 완결성이 높은 사업을 오는 12월 1차 선도사업으로 선정한다는 계획이다.
협의회는 서울역~당정역 구간을 지하화하고 상부 공간을 개발하는 경부선 지하화 사업을 통해 해당 지역은 물론 국가 발전을 꾀할 수 있다는 데 입을 모았다. 이에 이번 결의는 정부 선도사업 선정에 대한 강력한 의지 표명으로 풀이된다.
협의회는 지난 2012년 5월 '경부선 지하화 공동 추진을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하면서 발족했으며 서울 용산·동작·영등포·구로·금천구와 경기 안양·군포시 총 7개 지자체가 참여하고 있다.
문헌일 구로구청장은 "관내 중심을 가로지르는 경부선과 경인선으로 남북, 동서 간 단절과 더불어 균형발전 및 도시계획에 어려움이 있다"며 "철도 지하화 사업은 주민 불편 해소는 물론 도시 환경 개선, 경제적 이익 등 다양한 측면에서 도시 발전과 변화를 주도할 기회"라고 말했다.
유성훈 금천구청장도 금천구 G밸리의 기업활동 개선과 종사자 편의 증진 효과를 들며 특별법 제정에 환영 의사를 표하고 "경부선 지하화에 대비해 지역 특성을 고려한 '철도상부 공간개발 기본구상 용역'을 추진할 것"이라며 "계획단계부터 중앙정부와 서울시 등 유관기관과 긴밀히 협력하겠다"는 뜻을 전했다.
영등포구 역시 둘로 쪼개졌던 구를 하나로 재탄생시켜 미래세대를 위한 4차산업의 중심지로 도약하기 위해 만반의 준비를 하고 있다. 최호권 구청장은 "이번 회의를 통해 서울역에서 당정역 구간이 선도사업으로 선정될 수 있도록 단체장들과 협력해 서남권 신경제 명품도시, 젊은 영등포를 만들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CWN 정수희 기자
jsh@cwn.kr
[ⓒ CWN(CHANGE WITH 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