꿈의 '전고체 배터리' 상용화 누가 빠를까…삼성SDI 신기술 공개

윤여찬 기자 / 2024-10-24 14:53:00
삼성SDI, 무음극제 신기술 선보여
K배터리 경쟁 "오는 2027~2030년 개발"
▲'미래모빌리티엑스포‘에 참가한 삼성SDI 부스 전경. 사진=삼성SDI

[CWN 윤여찬 기자] 전고체 배터리는 '꿈의 배터리'로 불린다. 충격과 흔들림에 강해 전기차 용도로 적합하다. 장거리 주행도 가능하고 완충 속도도 15분 내외로 빠르다. 리튬이온 배터리가 액체 전해질을 사용하는 것과 달리 고체 전해질이 적용된다. 극저온이나 고온에서도 제 기능을 한다.

반면 전고체 배터리 개발에 속도가 나지 않는 이유는 고체 전해질의 특성 때문이다. 액체 성질보다 유동성이 낮아 배터리 성능과 충전 속도를 높이는 데 높은 기술이 요구된다. 또 소재의 가격이 리튬 이온 배터리의 약 1000배로 알려져 있어 양산에 성공하더라도 대량 생산이 가능해질 때까지 시간이 필요하다.

삼성SDI는 오는 26일까지 대구에서 열리는 '2024 대한민국 미래모빌리티엑스포'에서 전고체 배터리를 선보였다. 물론 양산형이 아니라 전시를 위한 샘플이다.

아직 갈 길이 멀지만 목표는 분명하다. 완전한 개발에 삼성SDI는 2027년을 예상하고, SK온과 LG에너지솔루션은 각각 2029년과 2030년 양산을 목표로 한다. 삼성SDI의 속도가 적어도 2년은 빠를 것으로 전망된다.

중국이나 일본 등 국가간 대결도 중요하다. 중국 CATL, 일본 토요타 등과 전고체 배터리 상용화를 두고 선점 대결을 펼치는 중이다. 승리한다면 소위 대박을 터트리며 K배터리의 위상을 높일 수 있지만 반대로 늦으면 큰 위기에 닥칠 수 있다.

궁극의 전고체 배터리로 가는 과정에서 새로운 기술도 속속 선보이고 있다. 삼성SDI는 에너지 밀도와 비용은 물론 배터리 수명 측면에서 유리한 무음극 기술을 소개했다. 삼성SDI 관계자는 "전고체 배터리는 독자적인 무음극 기술로 업계 최고 수준(900Wh/L) 에너지 밀도 구현이 가능하다"며 "지난해 말부터 고객사들에게 샘플을 공급해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다"고 말했다. 독자 조성한 고체 전해질 개선으로 음극 부피를 확 줄이고 양극재를 추가한 것.

아울러 삼성SDI는 이번 전시회에 리튬인산철플러스(LFP+)와 코발트프리(NMX) 배터리도 공개했다. 현재 양산중인 6세대 각형 배터리, P6과 21700(지름 21㎜, 높이 70㎜) 원통형 배터리 등 다양한 모빌리티용 배터리 제품도 전시해 눈길을 끌고 있다.

이 가운데 LFP+ 배터리는 신규 극판 기술로 에너지 밀도가 LFP 배터리 대비 10% 이상 향상시킨 제품이다. 또 5000 사이클 이상의 장수명 성능과 20분 만에 80%까지 충전이 가능한 급속충전 기술 등을 통해 상용차에 최적화했다고 소개하고 있다.

CWN 윤여찬 기자
mobility@cwn.kr

[ⓒ CWN(CHANGE WITH 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윤여찬 기자

윤여찬 기자 / 산업1부 모빌리티팀장

자동차/조선 등 모빌리티 분야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뉴스댓글 >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