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나 드라마 속에서 허공에서 손짓으로 기기를 작동하는 모습을 볼 수 있는데요. 현실과는 거리감이 느껴지는 기술이라 여겼지만, 이제는 일상 속 기술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증강현실 기술의 발달로 인해 한 걸음 더 가까워진 허공 제스처(in-air Gestures)에 대해 알아볼까요?
허공 제스처는 허공에서 손동작으로 컴퓨터나 스마트 폰 등의 기기와 상호작용하는 기술을 뜻합니다. 기계와 사용자 사이의 정보 교환 등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한 종류인데요. 편리한 터치 기술을 지녔지만, 아직 허공 제스처는 대중화된 기술이 아닙니다. 하지만 증강현실 기술 발달과 함께 허공 제스처가 주목받고 있습니다.
실제로 2015년, 구글은 ‘프로젝트 솔리(Project Soli)’라는 이름으로 허공 제스처 기술을 본격적으로 선보이기 시작했습니다. 프로젝트 솔리 덕분에 레이더 기반 모션 센서로 손의 미세한 동작을 감지해 기기를 조작할 수 있다고 하는데요. 최근 미국 연방통신위원회(FCC)가 솔리 레이더 센서의 개발과 가동을 승인하면서 개발 작업이 본격화될 것으로 보입니다.
프로젝트 솔리는 볼륨을 높이는 동작처럼 일상의 동작을 모방한 제스처인 가상도구(Virtual Tools)로 소통합니다. 지난 2019년 1월에 진행된 CES에서 현대모비스도 손가락만으로 바람의 세기나 음악의 볼륨을 조절할 수 있는 가상 터치 기술을 탑재한 자율주행 콘셉트카를 선보이기도 했습니다.
머지않은 미래에 허공 제스처가 새로운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자리 잡기를 기대해봅니다.
[ⓒ CWN(CHANGE WITH 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