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 산업혁명의 주요 과제, 데이터 전문가로 가기 위한 자격 시험 정리

최수빈 / 2021-02-10 02:15:19

현재, 빅데이터,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등 첨단 정보통신기술(ICT)을 중심으로 4차 산업혁명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이러한 4차 산업혁명의 변화와 더불어 데이터가 디지털 경제 활동의 핵심으로 부각되고 있습니다. 데이터가 비즈니스를 주도하는 시대에 발맞춰 걷기 위한 사람들이 도전해 볼 만한 자격시험들을 소개하겠습니다.

1. 국가 기술 빅데이터 분석 기사

빅데이터 분석 기사는 빅데이터 이해를 기반으로 빅데이터 수집, 저장, 처리, 분석 및 시각화를 수행하는 실무자입니다. 빅데이터 분석 기사가 되려면, 통계청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 공동으로 신설한 자격시험을 통과해야 합니다.

응시 자격은 아래의 조건 중 하나를 충족해야 합니다.

(1) 대학 졸업자 등 또는 졸업 예정자(전공 무관)
(2) 기사 등급 이상의 자격을 취득한 사람(종목 무관)
(3) 3년제 전문 대학 졸업자 등으로서 졸업 후 1년 이상의 직장 경력이 있는 사람(전공, 직무 분야 무관)
(4) 2년제 전문대학 졸업자 등으로서 졸업 후 2년 이상의 직장 경력이 있는 사람(전공, 직무 분야 무관)

전공이 크게 관련이 없어, 다른 기사 시험보다는 접근성이 좋다고 볼 수 있습니다.

빅데이터 분석 기사 시험은 필기와 실기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필기에서는 빅데이터 분석 기획, 빅데이터 탐색, 빅데이터 모델링, 빅데이터 결과 해석의 4과목이 각 20문제씩 총 80문제로 이루어져 있으며, 실기에서는 빅데이터 분석 실무를 평가하기 위해 데이터 수집, 전처리, 모형 구축, 모형 평가의 4가지 항목으로 구분해 채점합니다.

2020년 12월에 1회 시험이 시행될 예정이었으나 코로나19 때문에 폐지되었습니다. 따라서 2021년 4월에 시행되는 2회가 빅데이터 분석 기사 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는 첫 시험이 됩니다. 상반기 4월. 하반기 10월로 연간 총 2회 시험이 진행됩니다.

2. 국가 공인 데이터 아키텍처 (준)전문가(DA(s)P, Data Architecture (semi-)Professional)

데이터 아키텍처 전문가는 기업의 모든 업무를 데이터 측면에서 처음부터 끝까지 체계화하는 것을 뜻하는 데이터 아키텍처를 효과적으로 구축하기 위해 전사 아키텍처와 데이터 품질 관리에 대한 지식을 바탕으로 데이터 요건분석, 데이터 표준화, 데이터 모델링, 데이터베이스 설계와 이용 등의 직무를 수행하는 실무자입니다.

응시 자격은 아래의 조건 중 하나를 충족해야 합니다.

(1) 학력 및 경력 기준
박사학위 취득한 자, 석사학위 취득한 후 정보처리 분야의 실무경력 1년 이상인 자,
학사학위 취득한 후 정보처리 분야의 실무경력 3년 이상인 자,
전문대학 졸업한 후 정보처리 분야의 실무경력 6년 이상인 자,
고등학교 졸업한 후 정보처리 분야의 실무경력 9년 이상인 자

(2)자격 보유 기준
국가기술자격 중 기술사 자격을 취득한 자,
국가기술자격 중 기사 자격을 취득한 후 정보처리 분야의 실무경력 1년 이상인 자,
국가기술자격 중 산업기사 자격을 취득한 후 정보처리 분야의 실무경력 4년 이상인 자,
학사학위 취득자 중 데이터베이스 관련 자격을 취득한 자
데이터아키텍처 준전문가 자격을 취득한 자,
SQL 전문가 또는 SQL 개발자 자격을 취득한 자

실제 업무의 전반적인 프로세스를 섭렵하고 있어야 하는 만큼 자격 조건이 까다롭습니다. 데이터 아키텍처 전문가보다 한 단계 아래인 데이터 아키텍처 준전문가는 응시 자격 조건이 없어, 이를 먼저 준비해 보는 것도 좋을 것입니다. 국가 공인 자격증은 아니지만, 데이터아키텍처 전문가 응시 자격 조건을 만족시키기에 가장 빠른 방법이며, 시험의 주요 내용이 같기 때문에 해당 시험을 준비하기에 도움이 될 것입니다.

전사 아키텍처 이해, 데이터 요건 분석, 데이터 표준화, 데이터 모델링, 데이터베이스 설계와 이용, 데이터 품질 관리 이해의 총 6과목이 100문제로 이루어진 필기를 응시해야 하며, 이를 통과할 경우, 각 과목의 내용이 종합되어 있는 실기 1문항을 4시간에 걸쳐 수행하여야 합니다.

데이터 아키텍처 자격 시험은 1년에 4회에 걸쳐 이루어집니다. 올해는 3월 27일 제 51회를 시작으로, 6월 5일 제 52회, 9월 12일 제 53회, 12월 18일 제 54회가 시행될 예정입니다.

3. 국가 공인 SQL 전문가, SQL 개발자(SQL Professional / SQL Developer)

데이터 분야를 크게 설계, 개발, 분석으로 나눈다면 개발 파트에 들어가는 것이 여기의 SQL 관련 자격시험이라 할 수 있습니다. SQL(Structured Query Language)은 데이터베이스를 직접적으로 액세스할 수 있는 언어이기 때문에, 데이터를 정의하고 조작하며 접근 권한을 제어해서 데이터 모델링을 하는 데 있어 정확하고 최적의 성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설계와 구현 등의 직무를 수행하는 전문가의 자격을 취득하거나, 언어로써의 SQL을 자유자재로 다룰 수 있는 개발자의 자격의 취득하는 것 또한 데이터를 사용하는 중요한 요소라 할 수 있을 것입니다.

SQL 개발자 시험은 특별한 응시 자격이 없습니다. 그리고, SQL 전문가의 응시 자격은 아래와 같습니다.

(1) 학력 및 경력 기준
학사학위 이상 취득한 자, 전문학사학위 취득 후 실무경력 2년 이상인 자,
고등학교 졸업한 후 실무경력 4년 이상인 자

(2) 자격보유 기준
국내·외 데이터베이스 관련 자격을 취득한 자, SQL 개발자 자격을 취득한 자,
데이터아키텍처 전문가 및 준전문가 자격을 취득한 자

SQL 개발자 자격시험의 과목은 총 2과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데이터 모델링의 이해' 과목을 바탕으로 SQL 기본 및 활용을 수행하는 능력을 평가합니다.

SQL 전문가 자격 시험의 과목은 총 3과목으로, SQL 개발자 자격 시험의 내용과 함께 SQL 고급 활용 및 튜닝을 수행하는 능력을 추가로 평가합니다. 해당 자격들 역시 취득을 하는 순서가 개발자 다음 전문가 순으로 정해져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시험은 1년에 4회에 걸쳐 이루어지며, 2021년에는 3월 20일 제 40회를 시작으로, 5월 29일 제 41회, 9월 5일 제 42회, 11월 5일 제 43회가 시행될 예정입니다.

4. 국가 공인 데이터 분석 (준)전문가(AD(s)P, Advanced Data (semi-)Analytics)

데이터 분석 전문가란 데이터 이해 및 처리 기술과 관련된 기본 지식을 바탕으로 데이터 분석 기획, 데이터 분석, 데이터 시각화 업무를 수행하고 이를 통해 프로세스 혁신 및 마케팅 전략 결정 등의 과학적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직무를 수행하는 전문가입니다.

빅데이터 분석 기사 시험이 시행되기 전에는 데이터 활용 능력을 해당 자격시험을 통해 인증받았습니다. 올해 처음 시행되는 빅데이터 분석 기사와 상충하는 내용이 많아, 두 가지를 동시에 준비하는 것도 좋을 것입니다.

데이터 분석 준전문가 자격검정 시험의 과목은 총 3과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데이터 이해 과목을 바탕으로 데이터를 분석하는 능력을 검정하게 됩니다. 이보다 한 단계 높은 데이터분석 전문가에서는 앞의 3과목에 데이터 처리 기술 이해와 데이터 시각화가 추가돼, 더 넓은 전문성을 요구합니다.

시험 응시 기준은 데이터분석 준전문가 자격증이 추가로 필요하다는 점 이외에 데이터 아키텍처 전문가의 응시 자격과 같습니다.

1년에 총 4회의 시험이 시행되며, 필기와 실기의 날짜가 다르기 때문에 상세한 일정은 별도로 확인해야 합니다. 2021년에는 필기 기준으로 3월 13일에 제 20회를 시작으로, 5월 22일 제 21회, 8월 29일 제 22회, 11월 6일 제 23회가 시행될 예정입니다.

자격 시험의 정보와 일정은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KData)의 데이터자격검정 홈페이지에서 더 자세히 확인할 수 있습니다.

[ⓒ CWN(CHANGE WITH 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최수빈

IT/Tech, 금융, 산업, 정치, 생활문화, 부동산, 모빌리티

뉴스댓글 >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