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사람을 대신해 인공지능(AI)이 면접을 보는 기업이 늘어나고 있다. 이제는 일반 기업뿐만 아니라 공공기관에서도 인공지능을 통해 면접을 보고 있다. 오늘은 점점 더 확산되고 있는 AI 면접에 대해 알아보겠다.
AI 면접은 자기소개, 지원 동기 등의 필수 기본 질문을 비롯해 탐색 질문, 상황 제시형 등의 질의응답, 그리고 게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인공지능이 지원자의 소리와 표정을 포함해 답변 내용을 체크하여 여러 부분들을 평가하게 된다.
우선, 면접을 시작할 때 AI는 지원자의 얼굴 형태, 근육 등을 인식해 대리 시험 등의 부정행위를 방지한다.
그 뒤 실제 면접에서 지원자가 답변하는 동안 AI는 안면 움직임, 표정 변화, 목소리 톤, 크기 변화, 속도 등을 통해 자신감, 안정감 등을 확인하여 평가를 진행한다.
이러한 부분 이외에도 지원자가 거짓을 이야기하고 있는지 등도 함께 판단하여 총 점수를 매기게 된다.
마이다스아이티 관계자는 “지원자들이 합격하고 싶은 마음에 의도적으로 혹은 자신도 모르게 성향 파악 답변을 속이는 경우가 있는데 이를 잡아내기 위해 함정질문과 지원자들이 본능적으로 반응하는 전략 게임을 진행하는 것”이라며, “전략 게임에서 중요한 것은 정답이 아니라 지원자의 의사결정 유형과 정보 활용 패턴”이라고 설명했다.
아직 로봇을 믿을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해 부정적인 시각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도 많다.
반대로 사람이 판단할 수 없는 부분을 로봇이 판단해 주는 것에 대해 공정하고 객관적이라고 보는 이도 많다.
AI 면접이 점점 확산되면서 로봇을 믿을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 다양한 의견이 존재하고 있는데, 이 부분에 대해서는 아직 AI 면접이 도입된 지 얼마 지나지 않았으므로 어떤 방향으로 진행될지 좀 더 지켜봐야 할 것이다.
[ⓒ CWN(CHANGE WITH 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