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3D 프린팅 시장 수요 창출, 기술 경쟁력, 산업 확산 및 제도적 기반 강화를 위한 ‘2021년 3D 프린팅 산업 진흥 시행계획’을 마련하였다.
이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업부 등 관계부처 합동으로 진행되며 총 968.3억 원이 투입된다.
정부는 투자성과가 민간투자 확대와 기술 확산 촉진의 마중물이 될 수 있도록 한국형 성공사례를 발굴하고 민간·수요 중심 기술 활성화 및 산업 확산을 지원한다.
3D 프린팅 사업화 성공모델 발굴을 위하여 3D 프린팅 기술을 활용한 고부가가치 제품·부품 공정개발을 지원하는 제조혁신 실증 과제를 추진하고, 제조혁신을 위한 공정개발 컨설팅, 데이터 기반 공정기술 지원, 다양한 산업군에서 기술 활성화 사업을 추진한다.
더불어 차별적 기술력 확보를 위해 핵심 소재·장비·소프트웨어 기술을 자립화하고, 잠재수요가 많고 기술선점이 필수적인 분야의 기술력 확보에 역량을 집중하기로 하였다.
초경량, 기능성 등의 차세대 소재와 정밀·대형·맞춤형 장비를 개발하며, 산업용 등 핵심 소프트웨어 국산화를 위한 요소 기술 및 플랫폼 기술 개발도 지원한다.
혁신과 성장을 중심으로 산업 기반을 고도화하기 위해 전문 인재 양성, 제조혁신과 기업 성장을 위한 인프라 및 기술표준·평가체계 고도화, 법·제도 정비와 안전성 강화에 나섰다.
아울러, 스타트업 특화 원스탑(One-Stop) 서비스를 지원하며, 제조혁신 공정개발을 지원할 '3D 프린팅 융합기술센터'를 구축하고, 지역특화산업과 연계한 '3D 프린팅 제작․공정지원센터'를 구축·운영하며, 제조 창업 지원 인프라인 메이커스페이스를 확대한다.
3D 프린팅 국제표준 선도를 위한 국제표준화 활동과 국가기술표준 제정을 추진하며, 소재 품질평가 규격 개발과 소프트웨어 품질 신뢰성 확보 가이드 개발 및 보급 또한 추진한다.
과기정통부 이승원 정보통신산업정책관은 “4차산업혁명과 코로나19로 인한 디지털 대전환 시대에서 3D 프린팅 기술이 새로운 성장 동력 및 혁신의 시발점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수요발굴, 인재양성, 기술개발 및 인프라 고도화 등을 전략적으로 추진하고 있다”라며, “올해는 3D 프린팅의 제조혁신 수요발굴을 통한 시장 확대 및 3D프린팅 관련 창업 활성화 등 산업 생태계를 확장하고, 3D프린팅 이용 안전성 강화를 위한 대책 추진에 주력할 계획이다”라고 밝혔다.
‘2021년 3D 프린팅 산업 진흥 시행계획’에 관한 더 자세한 사항은 과기정통부 등 관계기관과 전담기관인 정보통신산업진흥원 누리집, 3D상상포털 등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 CWN(CHANGE WITH 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