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의 시작
웹은 스위스에 있는 유럽핵물리입자연구소인 CERN에서 비정규 계약직으로 일하던, 영국 출신의 과학자 팀 버너스리(Tim Berners-Lee)의 아이디어에서 시작되었다. 1980년, CERN에서는 약 10,000명의 연구원이 서로 다른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환경에서 일하고 있었고, 정보를 교환하기 위해 이메일과 파일 전송(ftp)이라는 방법을 사용하였으나 다소 불편함을 느꼈다.
이에 그는 정보를 쉽게 공유하고 관리할 수 있는 웹을 개념을 제안하였고, 1990년에 WorldWideWeb이라는 프로젝트를 시작하였다. 이 프로젝트는 서버-클라이언트로 동작하는 HTTP 모델과 HTML 언어를 개발하고, 세계 최초로 웹 서버와 웹 브라우저를 개발하였다.
웹이 성공을 이루게 된 근본 이유는 무엇일까?
- HTML 태그는 매우 단순하고 직관적이어서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또한, HTML 태그는 텍스트이므로 아무 텍스트 편집기로 문서 편집을 할 수 있다.
- 사용자가 웹 브라우저로 웹 페이지를 보고 있는 동안 대부분의 경우 웹 브라우저와 웹 서버의 연결을 유지하기 어렵다. 웹은 효율적 HTTP 통신으로 많은 웹 브라우저의 동시 접속에 따른 부담을 낮춘다.
- 웹 서버는 웹 브라우저로부터 요청받은 문서나 이미지, 사운드, 동영상 등을 단순히 보내줄 뿐이다. 웹 문서를 출력하는 것은 브라우저의 몫이며, 클라이언트와 서버의 작업 분담이 근본 이유 중 하나이다.
웹은 모든 곳에 있으며 정보 통신을 위한 기본 플랫폼이다.
우리 주위의 모든 곳에 웹이 있다. 점점 확산되는 사물인터넷(IoT) 기술과 함께 아주 작은 인터넷 장치들까지도 웹 서버를 설치하고 웹을 이용하여 서로 정보를 교환하게 될 것이다.
[ⓒ CWN(CHANGE WITH 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