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을 하다 보면 화면에 ‘404 Not Found’라는 글자와 함께 ‘요청하신 페이지를 표시할 수 없습니다.’라는 화면을 접한 적이 한번쯤은 있을 것이다. 이것이 바로 HTTP의 상태 코드 중 하나이다.
HTTP 프로토콜은 상태에 따라 100번대부터 500번대까지 상태 코드가 정해져 있다. 100번대부터 차례로 살펴보겠다.
100번대는 조건부 응답으로, 요청을 받았으며 작업을 계속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200번대는 성공을 나타낸다. 즉, 클라이언트가 요청한 동작을 수신하여 이해하였고 이를 승낙했으며 성공적으로 처리했음을 의미한다. 가장 대표적인 상태코드는 웹 프록시 툴 등을 사용하게 될 때 자주 볼 수 있는 200번 (성공)이 있다.

위 사진은 ‘버프 스위트’ 툴을 통해 코딩월드뉴스 웹 페이지를 프록시 하였을 때 200 OK 가 출력됨을 확인한 캡쳐본이다.
300번대는 리다이렉션 완료이며, 클라이언트는 요청을 마치기 위해서 추가 동작을 취해야 함을 의미한다.
400번대는 요청 오류를 나타내는 상태 코드이다. 대부분 404 Not Found를 가장 자주 접했을 것이다. 이는 Not Found 의미 그대로, 서버가 요청한 페이지를 찾을 수 없다는 것이다. 서버에 존재하지 않는 페이지에 대한 요청이 있을 경우 해당 코드를 제공한다. 이외에도 서버가 요청한 구문을 인식하지 못했음을 나타내는 400 잘못된 요청, 서버가 요청을 거부하고 있을 때 발생하는 403 Forbidden 등이 있다.
마지막으로 500번대는 서버 오류를 나타내며, 서버가 유효한 요청을 명백하게 수행하지 못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내부 서버 오류를 나타내는 500, 서비스를 사용할 수 없음을 나타내는 503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위에서 설명한 것 외에도 HTTP 상태코드는 굉장히 다양한 종류가 있고, 인터넷을 하며 나타나는 다양한 오류 코드에 궁금증을 가질 법해 글을 작성해보았다.
[ⓒ CWN(CHANGE WITH 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