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원에서 인공지능(AI)이 질병 진단을 한다면 어떨 것 같습니까? 다들 AI가 우리의 몸상태를 진단하고 수술하는 것을 상상을 해보셨을 것입니다. 실제로 국내 여러 대학 병원이 코로나 시대에 대비해 스마트 병원으로 전환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정부는 한국판 디지털 뉴딜의 과제 중 하나로 감염병 위험으로부터 의료진과 환자를 보호하고 환자의 의료편의를 높이기 위해 디지털 기반 스마트병원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있습니다. 여기서 ‘스마트병원 선도모형(모델) 지원사업’이란, 정보통신기술(ICT)을 의료에 적용하여 환자의 안전관리, 진단, 치료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의료서비스를 개선한 모델을 개발하고 이를 검증하고자 추진하는 사업입니다.
베러파이드마켓리서치에 따르면 2019년 세계 스마트 병원 시장 규모는 254억 8,000만 달러(약 30조 6,397억 원)에 달할 전망입니다. 또한, 연평균 24.03%씩 성장해 2027년이면 1,288억 9,000만 달러(약 154억 9,902억원)에 이를 것으로 추산합니다.
서울대병원은 국내에서 AI 정밀 의료 구현에 적극적입니다. 특히, 유방 종양 형태 감별 초음파 진단 모델에는 초음파상 보이는 다양한 유방 종양의 형태를 학습시킨 소프트웨어가 적용됐다고 합니다. 장정민 서울대병원 영상의학과 교수는 “영상 의학 분야에서 인공지능은 진단의 효율과 정확성을 높일 수 있어 활용 가능성이 매우 크다”라고 말했습니다.
또한, 의사에게 환자 개인의 의료 빅데이터를 제공하여 정확한 진단 및 진료를 할 수 있게끔 돕는 AI 솔루션인 닥터앤서 개발중입니다. 이를 통하여 같은 질환에 대해서도 개인의 특성에 따라 다른 질별 예측, 진단, 치료가 가능해진다고 합니다. 2019년 8월 19일 기준으로, 심뇌혈관질환, 심장질환, 암(유방암, 대장암, 전립선암), 치매, 뇌전증, 소아희귀난치성 유전질환까지 8대 질환 대상 21개 소프트웨어를 개발 중입니다.
이러한 진단의 효율과 정확성의 증가는 환자의 불안 뿐 아니라 불필요한 추가 검사로 인한 의료비 상승을 줄일 수 있습니다.
보건복지부가 갑자기 ‘스마트 진료’를 천명하고 나선 이후 ‘스마트’가 갑작스럽게 주목받기 시작하였습니다. 하지만, 스마트병원으로 전환하는 것은 손바닥 뒤집듯이 쉬운 일은 아닙니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의료서비스혁신단 미래의료팀 이지선 팀장은 “스마트병원을 구현하는 것은 병원 하나에 솔루션을 구축하는 것이 아니라 동반 기업과 협력기관이 함께 해야 하는 것”이라며, “지금과 같은 의료기기 조달 차원의 문제가 아니라 파트너 관계 개념이 돼야 하지만, 실제로는 파트너 개념이 아예 없다”라고 지적하였습니다. 이같은 문제 해결을 위해 먼저 혼재된 병원 기능을 명확히 구분해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 CWN(CHANGE WITH 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