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암호화폐 지갑이란 무엇인가?
'지갑'의 사전적 의미는 돈이나 증명서를 넣을 수 있도록 가죽이나 헝겊으로 만든 작은 물건이다. 이 때문에 많은 사람이 '암호화폐 지갑'이라고 하면 암호화폐를 넣어서 보관하는 지갑의 의미로 생각할지도 모른다. 비트코인이나 이더리움 같은 암호화폐가 지갑 안에 보관되어 있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하지만, 실제로 암호화폐 지갑 안에는 암호화폐가 없다. 암호화폐 지갑은 블록체인의 분산화된 네트워크에 기록되는 거래 데이터를 만들고 서명하는 일에 사용하기 위한 비공개키 보관 및 관리를 위한 도구일 뿐이다.
그렇다면, 암호화폐는 도대체 어디 있는 것일까? 암호화폐는 참가자 모두가 공동으로 소유하는 블록체인 안에 있다. 우리가 집을 매수했을 때 집의 주소가 바뀌지 않고 서류상의 소유자만 바뀌는 것처럼 암호화폐도 내 소유로 등록된 암호화폐 중 일부를 서류상 주택 소유자 변경하는 것과 같은 과정을 통하여 암호화폐 데이터베이스에서 거친다는 것이다.
암호화폐 지갑, 어떻게 생성되는 것인가?
암호화폐 지갑은 비대칭적 암호화를 이용하여 생성된다. 비대칭적 암호화라는 개념을 이해하기 위하여 먼저 대칭적 암호화라는 개념에 대하여 알아보자.
A가 B에게 귀중품을 보낸다고 가정하면 예를 들면 이해가 쉬울 것이다. A는 귀중품을 안전하게 보내기 위하여 금고에 넣은 뒤 A 소유의 자물쇠를 이용하여 금고를 B에게 전달할 것이다. 그런데, B는 A의 자물쇠를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문제가 생긴다. 그래서 열쇠를 A에게서 받아야만 한다. 반대로 B가 A에게 무엇인가를 보낼 때도 마찬가지이다.
이러한 방식은 한 개의 열쇠를 서로 주고받아야 하므로 전달 과정 중 도난, 탈취, 분실 사고 위험이 존재한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해결책으로 등장한 것이 비대칭적 암호화라는 개념이다. 비대칭적 암호화 방식에는 공개 키와 비공개 키가 있다. 공개 키를 자물쇠라고 하면, 비공개 키는 그것을 열기 위한 열쇠라 할 수 있다.
A의 공개키와 비공개키, 그리고 B의 공개키와 비공개키까지 총 4개의 열쇠가 있다고 가정해보자.
A가 귀중품을 보내기 위해서는 B의 공개키(자물쇠 B)를 받아서 금고에 귀중품과 A의 공개 키(자물쇠 A)를 넣었다. 그리고, B의 공개 키(자물쇠)를 이용하여 금고를 보낸다. B는 A에게 주었던 자신의 공개 키(자물쇠 B)를 이용하여 금고를 닫아놓은 상태이다. 따라서 이 금고를 열 수 있는 비공개 키(열쇠 B)가 있으므로 금고를 열 수가 있다. 반대로 금고와 함께 내용물을 받은 후, B가 A에게 물건을 보낼 때는 내용물과 B의 공개 키(자물쇠 B)를 넣고 A의 공개 키(자물쇠 A)를 이용하여 금고를 잠근 뒤에 전달하면 된다.
이렇듯 공개키/비공개 키의 방식이 암호화폐에서의 지갑을 의미한다. 공개키는 누구에게나 공개할 수 있다. 비공개 키가 있지 않은 이상 공개 키를 이용하여 할 수 있는 일이 없기 때문이다. 항상 비밀을 유지하는 것은 당연한 이야기이다. 암호화폐를 쓰거나 소유권을 바꾸고 싶다면, 비공개 키가 있어야 공개 키를 열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지갑을 생성한다는 것은 즉 비공개 키를 만든다는 뜻이다. 비공개 키를 이용하여 공개 키를 만들고 공개키는 암호화폐를 보낸다고 했을 때 공유해야 할 주소에 불과하다.
암호화폐 지갑의 또 다른 사용법
암호화폐 지갑 대부분 비트코인, 이더리움 등 암호화폐 보관에 사용된다. 그리고, 주택 매매 문서와 증권, 상품 등을 나타내는 대체 불가능, 대체 가능 디지털 권한을 위한 키와 공연 티켓, 버스 티켓, 상품 등 디지털 가치를 지닌 모든 것을 나타낼 수도 있다.
미래 경제에는 의료 정보, 개인 정보와 같은 모든 것을 블록체인과 암호화폐 지갑을 기반으로 할 수 있을 것이다. 운전면허증, 여권, 토지증서 등 그동안 종이 형태로 발급된 각종 서류를 디지털화하여 암호 지갑에 저장하고 접근 권한을 줄 수 있다.
암호화폐 지갑의 다양한 활용성 덕분에 암호화폐 지갑의 안전한 사용을 위하여 안전한 암호화폐 환경, 보안 기술, 지갑 기술 등에 대한 중요성이 더욱 대두될 것이다.
[ⓒ CWN(CHANGE WITH 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