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부, 무인 이동체·SW플랫폼개발사업 추진

김예원 / 2021-07-30 13:54:58

4차 산업혁명의 핵심기술로 손꼽혔던 무인 이동체 드론이 정부‧지자체‧공공기관의 수요를 반영한 공공서비스 사업에 본격적으로 활용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다부처 사업으로 추진 중인 공공혁신조달 연계 무인이동체 및 SW플랫폼개발사업에서 공공수요를 반영한 3개의 신규 테마(해안쓰레기 현장정보 수집, 국토 및 지적재조사, 도서산간지역 방범‧순찰임무)에 대한 주관 연구기관을 선정하고 아래와 같이 3가지 사업을 본격 추진한다고 밝혔다.

1. 무인 이동체 시스템, 해안쓰레기 현장정보 수집한다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가 수요기관으로, ㈜한컴인스페이스가 주관연구기관으로 선정되었다. 최대 운용거리 4km 내의 영역에서 20분 이상 해안쓰레기 관측 및 정보취득 임무를 자동 수행하는 시스템을 개발할 예정이다.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3ce00002.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505pixel, 세로 815pixel

< 해안쓰레기 현장정보 수집을 위한 무인이동체시스템 추진 개념도 > [사진=과기정통부]

2. 고정밀 이미지 정보 처리용 무인 이동체 시스템, 국토조사 및 지적재조사 돕는다
국토조사 및 지적재조사를 위한 고정밀 이미지 정보 처리용 무인 이동체 시스템 개발도 진행된다. 한국국토정보공사가 수요기관으로, ㈜유맥에어가 주관연구기관으로 선정되었다. 다수 무인비행체(최대 4대)를 운용하여 최대 1km2의 면적에 대해 20분간 이미지 촬영임무를 수행하는 시스템을 구축할 예정이다.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3ce022ac.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842pixel, 세로 474pixel

< 국토조사 및 지적재조사를 위한 고정밀이미지 정보처리용 무인이동체시스템 추진 개념도 > [사진=과기정통부]

3. 자동 반복 임무 수행용 무인 이동체 시스템, 도서 산간 지역 방범·순찰 나선다
이번 사업으로 도서 산간 지역의 치안 관리를 위한 자동 반복 임무 수행용 무인 이동체 시스템 개발도 진행된다. 화성시청이 수요기관으로, ㈜그리폰다이나믹스가 주관연구기관으로 선정되었다. 최대운용거리 20km 내에서 최대 40분간 방범 및 순찰 임무를 자동 반복 수행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할 예정이다.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10세부.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162pixel, 세로 611pixel

< 도서산간지역에서 방범, 순찰을 위한 자동 반복 임무 수행용 무인이동체시스템 추진 개념도 > [사진=과기정통부]

3가지 사업 모두 총 2년간 각 과제별로 15억원의 예산을 지원받는다. 연구 기간 동안 우수조달물품 지정을 통해 공공혁신조달과 연계하여 시장 판로 개척에도 앞장 설 계획이다.

과기정통부 이창윤 기초원천연구정책관은 “혁신‧상생‧국민안전을 지향하는 공공조달과 4차 산업혁명 핵심인 무인이동체의 결합은 정부혁신 가속화의 촉매제가 될 것”이라며, “드론 혁신기업의 성장과 공공서비스 혁신을 위해 앞으로도 관계부처와 지속적으로 협업하여 아낌없이 지원하겠다.”라고 밝혔다.

드론의 기술확대로 공공기관 수요를 반영한 무인이동체와 SW플랫폼이 개발되고, 공공혁신조달을 통해 중소기업 성장을 지원함으로써 공공서비스의 질이 향상되기를 기대한다.

[ⓒ CWN(CHANGE WITH 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김예원

IT/Tech, 금융, 산업, 정치, 생활문화, 부동산, 모빌리티

뉴스댓글 >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