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코드 작성 능력과 자연스러운 문맥에 따른 텍스트 생성 능력을 선보인 인공지능(AI) 챗봇 챗GPT와 같은 또 다른 챗봇이 새로 등장했다.
인도 IT·빅데이터 전문 잡지 애널리틱스 인사이트는 검색 엔진 유닷컴(You.com)이 검색 엔진에 챗GPT와 같은 챗봇을 적용한 사실을 보도했다. 유닷컴의 챗봇도 AI를 기반으로 하며, 가짜 정보를 기반으로 특정 솔루션을 제공한다.
기본적으로 챗GPT와 마찬가지로 웹 검색 결과를 제공하고, 다양한 주제의 백과사전 지식을 전달할 수 있다. 간단한 문자 메시지 작성 요청도 처리할 수 있다.
챗GPT와 유닷컴의 챗봇을 포함한 AI 기반 챗봇은 포괄적인 범위에서 보면, 다양한 장르의 글 작성과 작곡, 예술 작품 창작 능력까지 갖추는 등 AI 기술의 발전의 일부분에 해당한다. 최근 들어 AI의 역량이 놀라운 수준으로 발전하면서 인간과 컴퓨터의 영역의 경계를 둘러싼 관심이 커졌다.
그러나 이는 현재 등장한 AI의 완성도가 높다는 뜻은 아니다. 애널리틱스 인사이트는 유닷컴의 성능은 아직 완성도가 낮은 편이라고 지적했다. 유닷컴이 개발한 챗봇의 질문 답변 수준은 지난해 생성된 정보까지만 전달하는 수준으로 제한됐다. 게다가 애널리틱스 인사이트가 발견한 바와 같이 2022년 카타르월드컵 결승전을 치른 경기장과 우승국 등 일부 질문에는 사실과 다른 답변을 한다.
또, “HTML로 솔리테리어 게임을 작성하라”와 같은 명령은 실행하지 못한다. 챗GPT가 코드 작성 능력을 선보인 것과 비교되는 부분이다.
유닷컴의 챗봇의 기술 완성도는 낮지만, AI 챗봇이 사용자가 검색하는 내용에 답변을 하는 것 자체는 어느 정도 예견된 일이다. 일례로, 구글은 챗GPT가 사용자 질문 답변 능력을 갖춘 사실을 경계하며, 내부에서는 챗GPT의 등장을 검색 엔진 사업 위기로 해석했다.
한편, 유닷컴 공동 창립자 리차드 소처(Richard Socher)는 공식 성명을 통해 채팅 기능을 추가해, 유닷컴을 구글 검색엔진과 차별화할 수 있을 것이라는 생각을 밝혔다.
[ⓒ CWN(CHANGE WITH 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