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정부 차원의 컨트롤타워 구축해야 조언

[CWN 이성호 기자] 한국의 AI 전문 인재수 부족하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미.중과 비교해 상당한 격차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일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는 박동 한국직업능력연구원 선임연구위원에 의뢰한 '한미중 인공지능 인재 확보 전략 및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의 인공지능 전문 인재 수는 2551명으로 전 세계의 0.5%에 불과한 것으로 분석됐다.
인공지능 전문 연구기관인 엘리먼트 AI가 발표한 '2020 글로벌 AI 인재보고'에 따르면, 2020년 전 세계 AI 분야 전문 인재 수가 47만7956명인데, 이 중 미국이 39.4%(18만8300명), 인도 15.9%(7만6213명), 영국 7.4%(3만5401명), 중국 4.6%(2만2191명)를 차지했다.
한국은 0.5%로 30개국 중 22위에 그쳤다.
미국은 AI 분야 우수 대학·연구기관, 기업이 가장 많은 나라로, 석·박사 해외 유학생 의존도가 3분의 2로 높다. 스탠퍼드 HAI의 AI 지수에 따르면 컴퓨터 과학 분야 미국 유학생 비중은 ’21년 박사 68.6%, 석사 65.2%이며, 그 비중이 늘고 있다.
미국은 테크기업이 고액의 연봉, 연구개발비를 제공하며 인재를 영입 중이고 제도적으로 학위를 마친 유학생이 최대 36개월간 임시 취업할 수 있는 체류자격을 주는 프로그램(OPT)이 있다.
안보유망기술센터에 따르면, 미국에서 AI 박사 학위를 받은 학생의 82%~92%가 졸업 후 첫 5년간 미국에 남아 일한다.
중국은 2001년부터 초중고교에서 정보기술 과목을 필수로 설정해 의무교육을 20년 넘게 추진했다.
교육시수는 정부가 가이드라인을 두어 초등학교 68시간 이상, 중학교 68시간 이상, 고등학교 70~140시간으로 설정했고, 고교단계에서 입시준비로 인한 교육 단절을 방지하기 위해 대학입시에 정보기술 과목을 필수로 포함했다.
보고서는 AI 인재 양성을 위해 범정부 차원의 컨트롤타워 구축을 제안했다.
한국은 교육부, 과기부, 산업부, 고용부가 각각 정책을 추진하고, 시도교육청도 산발적으로 사업한다.
보고서는 대통령실이 컨트롤타워가 돼 AI 발전계획을 수립하고 추진 상황을 점검할 것을 제안했다.
아울러 초중고 AI 교육에서 교육시수 확대 및 교사 확보를 추진하고 이를 위한 국가투자 확대를 주문했다. 또 AI 인재 확보를 위해 해외인재 영입 정책을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민간 차원에서 높은 급여, 매력적인 연구 환경 등을 제공해 우수 인력을 유치하고, 정부 차원에서 외국인 비자 규제 완화 및 한국판 천인계획 등으로 세계적 인재 영입에 힘써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성호 기자 sunghho@cwn.kr
[ⓒ CWN(CHANGE WITH 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