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권단 "회생해도 거래 재검토"
정부 "자구노력 전제" 대주주 압박

[CWN 최준규 기자] 태영건설이 7일 워크아웃 분수령에도 법정관리(회생절차) 가능성은 커지고 있는 가운데 추가 자구안을 금융당국과 채권단에 여전히 내놓지 않고 침묵으로 일관하고 있다.
이에 이 회사 대주주에 정부와 채권단이 전방위 압박을 가했지만 태영 측은 미적대고 있다.
이에 채권금융사들은 법정관리로 태영이 회생해도 신뢰가 무너져 금융거래 관계를 전면 재검토하겠다는 입장이고 대통령실도 더 압박하고 있다.
앞서 태영은 지난 3일 채권단 설명회에서 태영건설 워크아웃에 돌입하기 위한 자구계획을 발표했다. 이 자구안은 태영인더스트리 매각(1549억원), 에코비트 매각, 블루원 지분 담보제공 및 매각, 평택싸이로 지분 담보 등 총 4개다.
하지만 태영의 자구안 이행은 시작부터 비틀거렸다.
채권단은 애초에 태영인더스트리 매각 대금을 1549억원이 아닌 2062억원을 요구했었다. 윤석민 태영그룹회장(416억원), 여동생 윤재연 블루원 대표(513억원), 티와이홀딩스(1133억원)가 각각 자금을 마련하라는 것이 주요 골자였지만 태영 측은 윤재연 대표를 이번 경영 책임과 상관이 없다며 배제했고, 결국 513억원이 빠진 1549억원으로 지원금액이 줄었다.
이렇게 줄어든 태영인더스트리 매각 대금(1549억원)도 태영건설에 쓰이지 않았다는 비판이 나왔다. 1549억원 가운데 659억원만 직접적인 자금에 지원됐고 이외의 890억원은 티와이홀딩스과 태영건설의 연대보증채무를 해소하는 데 썼다.
태영 측은 이에 대해 "티와이홀딩스가 태영건설 대신 개인투자자 보호 차원에서 직접 상환했다"고 밝혔다.
하지만 채권단은 태영건설을 위한 지원이 아닌 티와이홀딩스 즉, 사실상 오너 일가를 위한 지원이라고 일축했다.
정부와 채권단은 현재 티와이홀딩스의 연대보증채무에 쓴 890억원을 태영건설에 재지급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이는 태영건설을 살리는데 자금을 정확하게 쓰라는 것이다.
이처럼 태영이 추가 자구안을 계속 내놓지 않고 있어 법정관리 가능성은 더 커지고 있다. 워크아웃 동의 여부는 오는 11일까지지만 이대로라면 채권단이 거부할 가능성이 크다.
만약 채권단이 워크아웃에 반대하고 태영이 법정관리에 들어가면 상거래채권까지 모든 채권이 동결돼 분양 계약자와 500여개 협력업체의 피해가 눈덩이처럼 커지게 되고 국내 경제 뇌관으로도 어어질 수 있다.
이에 태영이 법정관리를 준비하고 있다는 분석도 조심스레 나온다. 추가 자구계획보다 티와이홀딩스의 연대보증채무 해소, 자본확충 등으로 최악의 상황을 대비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채권단은 태영그룹(오너 일가)이 법정관리에 돌입해 회생해도 예전처럼 금융거래 관계를 유지할 수 없다고 내세웠다.
이는 금융거래의 가장 큰 핵심인 신뢰를 상실했다는 데 따른 것이다.
한편 한 채권단 관계자는 "앞으로 발생할 채무에 대해서도 신뢰할 수 없고 거래 관계를 전면 재검토할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
CWN 최준규 기자
38junkyu@cwn.kr
[ⓒ CWN(CHANGE WITH 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