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병원 ‘무기한 휴진’ 중단…“지속가능 투쟁으로 전환”
손현석 기자
spinoff@cwn.kr | 2024-06-21 15:00:07
[CWN 손현석 기자] 서울대 의과대학·병원 교수들이 무기한 휴진을 중단하고 환자 곁으로 돌아간다.
21일 의료계에 따르면 서울의대·서울대병원 교수 비상대책위원회가 서울대병원·분당서울대병원·서울시보라매병원·서울대병원강남센터 등 병원 4곳에 소속된 전체 교수 대상으로 투표를 실시한 결과 이같은 결론을 냈다.
응답자 948명 중 698명(73.6%)이 휴진 중단 후 지속 가능한 방식의 투쟁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답했으며, 무기한 휴진을 유지해야 한다는 응답자는 192명에 그친 것으로 알려졌다.
구체적인 활동 방식을 묻는 질문에 응답자의 75.4%는 ‘정책 수립 과정 감시와 비판, 대안 제시’를 택했다. 또한 55.4%가 범의료계와의 연대 필요성에 호응했다. 이밖에 65.6%의 교수들이 “환자와 의료진의 안전을 위해 지속 가능한 적정 수준으로 근무시간을 조정해야 한다”고 답했다.
이와 관련, 비대위는 “우리는 저항을 계속할 것”이라고 강조한 뒤 “정부의 무책임한 결정으로 국민 건강권에 미치는 위협이 커진다면 다시 적극적인 행동을 결의할 것이며, 정책 수립 과정을 감시하고 비판과 대안의 목소리를 낼 것이다. 이를 위해 의료계 전체와도 연대해 나가겠다”며 향후 대정부 투쟁을 시사했다.
또한 비대위는 무기한 휴진을 중단하는 이유에 대해 “전면 휴진 기간에도 미룰 수 없는 중증·난치·응급 환자에 대한 진료는 유지해왔으나 서울대병원 특성상 현 상황이 장기화됐을 때 진료 유지 중인 중증 환자에게도 실제적인 피해가 생길 수 있다”며 “의료 대란 속에서 환자 곁을 지켜왔고 휴진 기간에도 꼭 봐야할 환자를 선별하고 진료해온 교수들이 가장 걱정하는 점”이라고 했다.
CWN 손현석 기자
spinoff@cwn.kr
[ⓒ CWN(CHANGE WITH 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