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산공원 등 총 11개소 200면에 구축·운영
신속·정확하게 단속…“공유 주차 제도 활성”
▲ 강남구가 개발한 거주자 우선 주차구역 AI 단속시스템은 QR 코드를 통해 공유 주차 이용도 가능하다. 사진=강남구 |
[CWN 정수희 기자] 서울 강남구가 전국 최초로 거주자 우선 주차구역에 AI 단속시스템을 도입한다.
13일 구에 따르면 AI 부정 주차 단속시스템은 총 11개소 200면을 대상으로 다음 달 1일부터 도산공원에, 나머지 10개소는 오는 9월부터 운영된다.
거주자 우선 주차는 주택가의 주차난 해소를 위해 통행량이 적은 도로 일부에 주차구획선을 만들어 인근 거주민이 분기별 사용료를 내고 주차하는 제도다. 하지만 발레파킹(대리주차)과 부정 주차를 하는 이들로 인해 실사용자들이 주차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사용자들은 현장 단속과 견인 차량이 도착하기 전까지 다른 구역에 부정 주차를 해야 하는 악순환도 유발됐다.
구는 상시 단속의 필요성과 인력 부족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지난해부터 민간업체와 손잡고 단속시스템 개발에 매진한 결과 AI 부정 주차 단속시스템을 개발하고 특허 출원까지 마쳤다고 밝혔다. 이에 상습 반복적인 민원 다발 지역인 도산공원 등 11개소 200면에 시스템을 구축·운영한다는 방침이다.
주차면에 설치된 단속 장비는 카메라로 차량을 자동 인식한다. 이때 적용된 AI 기술은 차량 번호판을 정확하게 식별하는 기술이다. 거주자 주차면은 그 특성상 병렬 주차면으로 구성되는 경우가 많아 다양한 각도에서 번호판을 판독하는 능력이 중요하다. 구는 지난해부터 AI 반복 학습을 통해 번호판 인식률을 높이는 데 중점을 뒀다고 설명했다.
구 관계자는 “신고를 받고 단속요원이 나가서 점검하고 견인 차량을 부르는 기존 단속 방식에 비해 부정 주차가 발생하는 즉시 단속하고 차량번호를 관리자에게 자동 전송함으로써 사용료 부과와 견인 조치를 빠르게 진행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구는 이 시스템 도입으로 공유 주차 제도가 더 활성화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거주자 주차면 공유 사업은 주차구역이 비어있는 시간대에 모바일 앱을 통해 빈 주차면을 찾아 사전 예약 후 이용할 수 있는 제도다. 하지만 주차면을 예약해도 현장에 부정 주차 차량이 있어 이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는데 AI 시스템의 즉시 단속은 이러한 불상사를 방지할 수 있고 단속 장비에 붙어있는 큐알(QR) 코드를 통해 현장에서 바로 예약·결제해 주차면을 사용할 수도 있다.
조성명 강남구청장은 “주택가의 심각한 주차 문제를 막기 위해 운영하는 거주자 우선 주차제도를 이번 AI 단속시스템으로 정상화하겠다”며 “아울러 주차면 공유 제도를 활성화해 구민들의 주차 걱정을 덜고 더 살기 좋은 강남을 만들겠다”고 말했다.
CWN 정수희 기자
jsh@cwn.kr
[ⓒ CWN(CHANGE WITH 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