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WN 김해남 기자] 랭키파이가 발표한 2024년 4월 1일 트렌드지수 분석 결과 나스닥100 주식 트렌드지수에서 넷플릭스 주가가 1위를 차지했다.
랭키파이 빅데이터를 분석한 나스닥100 주식 트렌드지수 2024년 3월 4주차 지표이다.
1위 넷플릭스 주가는 트렌드지수 63,303점으로 전주 63,835점보다 532점 하락했다.
2위 스타벅스 주가는 트렌드지수 39,626점으로 전주 42,029점보다 2,403점 하락했다.
3위 테슬라 주가는 트렌드지수 30,076점으로 전주 32,085점보다 2,009점 하락했다.
4위 애플 주가는 트렌드지수 27,342점으로 전주 29,579점보다 2,237점 하락했다.
5위 에어비앤비 주가는 트렌드지수 26,223점으로 전주 25,719점보다 504점 상승했다.
또 6위 엔비디아 주가는 트렌드지수 24,809점, 7위 마이크로소프트 주가는 트렌드지수 7,698점, 8위 어도비 주가는 트렌드지수 4,913점, 9위 인텔 주가는 트렌드지수 2,956점, 10위 아마존닷컴 주가는 트렌드지수 1,495점이다.
이어 11위 오토데스크 주가, 12위 퀄컴 주가, 13위 시놉시스 주가, 14위 브로드컴 주가, 15위 모더나 주가, 16위 파카 주가, 17위 램 리서치 주가, 18위 KLA 주가, 19위 마이크론 테크놀로지 주가, 20위 메타 플랫폼스 주가 순으로 나타났다.
순위 | 키워드 | 3월 4주차 | 3월 3주차 | 증감 | 비율 |
---|---|---|---|---|---|
1 | 넷플릭스 | 63,303 | 63,835 | -532 | -0.8% |
2 | 스타벅스 | 39,626 | 42,029 | -2,403 | -5.7% |
3 | 테슬라 | 30,076 | 32,085 | -2,009 | -6.3% |
4 | 애플 | 27,342 | 29,579 | -2,237 | -7.6% |
5 | 에어비앤비 | 26,223 | 25,719 | 504 | 2.0% |
6 | 엔비디아 | 24,809 | 33,993 | -9,184 | -27.0% |
7 | 마이크로소프트 | 7,698 | 8,056 | -358 | -4.4% |
8 | 어도비 | 4,913 | 5,419 | -506 | -9.3% |
9 | 인텔 | 2,956 | 3,075 | -119 | -3.9% |
10 | 아마존닷컴 | 1,495 | 1,480 | 15 | 1.0% |
[출처: 랭키파이 나스닥100 주식 트렌드 테이블]
연령별 선호도에서 넷플릭스 주가는 10대 5%, 20대 21%, 30대 28%, 40대 29%, 50대 18%로 나타났다.
순위 | 키워드 | 트렌드지수 | 10대 | 20대 | 30대 | 40대 | 50대 |
---|---|---|---|---|---|---|---|
1 | 넷플릭스 | 63,303 | 5% | 21% | 28% | 29% | 18% |
2 | 스타벅스 | 39,626 | 10% | 26% | 26% | 26% | 12% |
3 | 테슬라 | 30,076 | 3% | 20% | 35% | 27% | 15% |
4 | 애플 | 27,342 | 23% | 30% | 22% | 18% | 7% |
5 | 에어비앤비 | 26,223 | 3% | 30% | 33% | 22% | 11% |
6 | 엔비디아 | 24,809 | 2% | 20% | 34% | 26% | 19% |
7 | 마이크로소프트 | 7,698 | 9% | 26% | 30% | 21% | 14% |
8 | 어도비 | 4,913 | 10% | 43% | 26% | 13% | 8% |
9 | 인텔 | 2,956 | 4% | 24% | 30% | 25% | 17% |
10 | 아마존닷컴 | 1,495 | 0% | 3% | 9% | 38% | 49% |
[출처: 랭키파이 나스닥100 주식 트렌드 테이블]
나스닥100 주식 트렌드 지수 데이터는 넷플릭스 요금제, 넷플릭스 영화 추천, 넷플릭스 공유, 넷플릭스 드라마 추천, 넷플릭스 추천, 스타벅스 메뉴, 스타벅스 텀블러, 스타벅스 영업시간, 스타벅스 md, 스타벅스 사이즈, 테슬라 주가, 테슬라 모델y, 테슬라 모델3, 테슬라 모델x, 테슬라 사이버트럭 등의 키워드 및 트렌드를 분석한 결과이다.
CWN 김해남 기자
newstdi9@cwn.kr
[ⓒ CWN(CHANGE WITH 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