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흠집에 수리비 7000만원 질타 등
![]() |
▲ 바이틀 벤츠코리아 대표가 7일 국정감사에 출석해 전기차 화재에 대해 질타를 받았다. 벤츠코리아는 표시광고법 위반 조사를 받고 있다. 사진=국회 의사중계시스템 캡처 |
[CWN 윤여찬 기자] 마티아스 바이틀 메르세데스-벤츠코리아 대표가 국정감사에 출석해 "고객을 기망하려던 의도가 전혀 없었다"고 밝혔다. 현재 공정거래위원회는 벤츠코리아가 표시광고법을 위반했는지 조사 중에 있다.
바이틀 대표는 7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국회 국토교통위원회의 국토교통부 국정감사에서 벤츠가 과거 언론 인터뷰를 통해 전기차 배터리 제조사를 CATL로 알렸다는 더불어민주당 이소영 의원의 지적에 대해 이같이 답변했다.
지난 8월 화재로 큰 피해를 유발한 벤츠 EQE에 적용된 배터리는 파라시스 배터리였다. 하지만 지난 2022년 벤츠 전기차 개발 총괄 부사장은 EQE 모델에 CATL이 탑재됐다고 밝힌 바 있다.
바이틀 대표는 "'CATL도 EQE에 사용되는지'라는 질문에 대해 부사장은 '그렇다'고 대답했다"며 "CATL 배터리만이 EQE 모델에 사용된다는 답변은 아니었던 것으로 안다"고 설명했다.
이어 바이틀 대표는 "청라 주민들에게 지원을 약속한 45억원은 보상이 아닌 인도적 차원의 지원"이라며 "현재 조사가 진행 중이며 조사 결과가 나오고 상황이 명확해지는 대로 합당한 책임을 지겠다"고 했다.
또한 최근 벤츠에 3㎜ 하부 손상 수리비로 7000만원을 청구한 점에 대해선 "기술적 특성상 제대로 된 답변을 드릴 수 없다"며 "벤츠 엔지니어는 승객 및 운전자들의 안전과 제품의 품질을 최우선으로 고려를 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편 벤츠코리아는 공식 딜러사 교육용 자료에 사실상 '전기차 배터리 제조사를 CATL로 설명할 것'을 지침으로 삼은 것으로 드러나 논란을 빚고 있다. 소비자가 중국산 배터리에 대해 안전성 우려를 제기하는 상황에 대비한 상담 시나리오에 세계 1위 CATL만 언급하라고 적시됐다.
CWN 윤여찬 기자
mobility@cwn.kr
[ⓒ CWN(CHANGE WITH 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