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맞춤형 가전으로 중국 시장 공략

소미연 기자 / 2024-03-15 14:00:00
'AWE 2024' 참가…가구장 꼭 맞는 냉장고, 내부 드럼 더 커진 세탁기
마이크로 LED·Neo QLED 8K 앞세워 차세대 디스플레이 리더십 강조
▲'AWE 2024' 삼성전자 전시관에서 관람객들이 다양한 제품과 솔루션들을 체험하고 있다. 사진=삼성전자

[CWN 소미연 기자] 삼성전자가 중국 가전 시장 공략을 가속화한다. 무기는 현지 소비자들을 위한 맞춤형 '비스포크(BESPOKE)' 가전과 디스플레이 기술력을 집대성한 2024년형 TV다. 해당 제품들은 중국 상하이에서 개최되는 'AWE(Appliance & Electronics World Expo) 2024'에 내놨다.

AWE는 글로벌 3대 가전·전자산업박람회 중 하나로, 중국 상하이 신국제엑스포센터에서 오는 17일(현지시간)까지 열린다. 삼성전자는 전시장 내 약 1640㎡ 규모의 부스를 마련해 △비스포크 냉장고 △비스포크 세탁기 △마이크로 LED △Neo QLED를 체험할 수 있도록 했다.

이번에 선보이는 비스포크 가전은 중국 현지 가옥 구조에 맞춰 외관은 슬림하게 디자인하면서도 내부는 짜임새 있는 구조로 활용성을 높인 것이 특징이다.

▲비스포크 냉장고. 사진=삼성전자
중국향 '비스포크 냉장고' 신제품은 중국의 평균적인 주방 가구장 크기에 맞춰 컴팩트한 600㎜ 깊이로 설계했고, 좌·우 4㎜, 상단 9㎜의 공간만 남겨두고 꼭 맞게 설치할 수 있는 '제로갭 키친핏' 제품이다. 따라서 별도의 공사 없이도 빌트인 냉장고를 설치한 것과 같은 효과를 낼 수 있다.

냉장고 내부는 중국 소비자들의 식습관을 반영한 특화 보관 기능을 적용했다. 견과류, 찻잎, 곡물 등을 낮은 습도로 보관하는 '건습 박스', 채소, 과일을 높은 습도로 신선하게 보관하는 '보습 박스'를 갖췄다.

또 냉장실, 냉동실, 맞춤 보관실 각각 냉각기를 갖춘 삼성 냉장고의 트리플 독립 냉각 기능으로 식재료를 냄새 섞임 걱정 없이 식재료를 보관할 수 있다. 맞춤 보관실은 중국 소비자들의 식문화에 맞춘 찻잎·견과류를 포함해 총 6개 변온 모드로 전환 가능하다.

삼성전자의 차세대 고효율 컴프레서를 적용한 신제품은 에너지 소비효율 1등급 모델로 '스마트싱스(SmartThings)'의 'AI 절약 모드'를 사용하면 에너지를 최대 10% 추가로 절약할 수 있다. 이밖에도 '오토 오픈 도어'가 적용돼 양손에 짐을 들고 있는 상황에서도 손쉽게 내용물을 넣을 수 있다.

2024년형 '비스포크 세탁기' 라인업도 선보인다. 중국향 비스포크 세탁기 신제품은 외관 크기를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내부 드럼 크기를 기존 제품보다 16% 더 키워 12kg의 세탁 용량을 구현했다. 때문에 좁은 실내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면서도 더 많은 세탁을 할 수 있는 것이 장점이다.

▲비스포크 세탁기. 사진=삼성전자
또 국내외에서 큰 호평을 받고 있는 'AI 맞춤 코스'를 탑재해 세탁물의 무게와 오염도, 건조도를 감지해 세탁과 건조 시간을 맞춤 조절하는 AI 기능도 선보였다. 이밖에도 제품 전면에 7형 컬러 LCD 스크린을 탑재해 다양한 코스를 간단한 터치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개인 맞춤화된 세탁·건조 코스를 직관적으로 한눈에 볼 수 있다.

2024년형 삼성 TV는 마이크로 LED, Neo QLED 8K, OLED, 라이프스타일 TV 등 삼성만의 노하우가 담긴 혁신 제품들로 대거 전시된다.

마이크로 LED는 114형·101형·89형·76형 등 다양한 크기의 제품이 공개됐다. 벽과 TV 사이의 경계를 구분할 수 없는 정도로 한계를 넘어선 시청 경험을 제공한다.

3세대 AI 8K 프로세서가 탑재된 2024년형 Neo QLED 8K는 AI 기술이 △저해상도 영상을 8K급으로 업스케일링 해주는 '8K AI 업스케일링 프로' △AI가 사물의 움직임을 더욱 선명하게 보정하는 'AI 모션 인핸서 프로' △AI가 목소리와 배경음을 분석해 더욱 명료한 사운드를 제공하는 '액티브 보이스 앰플리파이어 프로' 기능이 탑재돼 어떤 콘텐츠든 마치 TV 속에 직접 들어와 있는 듯한 경험을 제공한다.

또한 98인치 TV 3대를 활용해 집 안의 프라이빗 영화관과 같은 환경을 조성하고, AI 알고리즘이 적용된 2024년 삼성 사운드바와 연동해 최상의 홈 엔터테인먼트 환경을 자랑한다.

이와 함께 CES에서 처음 선보인 액자 형태의 맞춤형 스피커 '뮤직프레임'으로 시각과 청각을 모두 만족시키는 전시존을 구성했다. '팬톤(PANTONE)'으로부터 '아트풀 컬러 인증(ArtfulColor Validated)'을 디스플레이 최초로 획득한 2024년형 더 프레임도 전시했다.

CWN 소미연 기자
pink2542@cwn.kr

 

[ⓒ CWN(CHANGE WITH 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소미연 기자

소미연 기자 / 산업1부 차장

재계/전자전기/디스플레이/반도체/배터리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뉴스댓글 >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