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직원 900명, 연봉 5.1% 인상 거부

소미연 기자 / 2024-04-24 11:00:36
창사 이래 첫 노조 대규모 집회, 내달도 계획 중
삼성 준감위원장 "소통과 화합으로 결론 내리길"
▲삼성전자 직원 900여명이 5.1% 수준의 올해 임금 인상을 거부한 것으로 알려졌다. 사진=뉴시스

[CWN 소미연 기자] 삼성전자의 노사 갈등이 장기화되고 있다. 직원 900여명이 사측과 노사협의회가 정한 5.1%(기본 인상률 3.0%, 성과 인상률 2.1%) 수준의 올해 임금 인상을 거부하기로 했다. 직원들이 임금조정 결과를 거부한 사례는 삼성전자 창사 이래 처음이다.

24일 삼성전자 최대 노조인 전국삼성전자노조(전삼노)에 따르면, 연봉 계약을 거부한 조합원 845명의 명단을 1차로 작성해 사측에 제출했다. 이는 사측의 요청에 따른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삼성전자를 비롯한 그룹 7개 계열사는 삼성 준법감시위원회에 '노사관계 현황'을 취합해 보고했다.

계약을 거부한 직원 대부분은 반도체 사업을 담당하는 DS(디바이스솔루션)부문 소속으로 알려졌다. 성과급이 0원으로 책정된 데 대한 불만으로 해석된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반도체 불황 여파로 DS부문에서만 14조원이 넘는 적자를 내자 소속 직원들의 초과이익성과급(OPI)을 0%로 확정했다.

DS부문 직원들이 주축이 된 전삼노 조합원 숫자는 최근 2만7000명을 돌파하며 가파르게 치솟고 있다. 집단행동도 시작했다. 전삼노는 지난 17일 화성사업장 내 부품연구동(DSR) 앞에서 2000여명이 참가한 문화행사 형식의 집회를 개최한 데 이어 내달에도 두 번째 단체 행동을 준비 중이다. 이번엔 삼성 서초사옥 앞으로 집결할 예정이다.

노조 단체 행동에 삼성 준감위도 추이를 지켜보고 있다. 이찬희 준감위원장은 지난 22일 취재진과 만나 "회사가 발전하는 과정 중 하나라고 생각한다"면서 "경제가 상당히 위기 상황이기 때문에 소통과 화합으로 결론을 내리길 바란다"는 입장을 밝혔다.

삼성전자는 그간 사내 협의기구인 노사협의회 협의를 통해 임금 인상률을 정해왔다. 하지만 2019년 11월 전삼노 출범 이후 상황이 달라졌다. 전삼노는 2021년부터 사측과 임금 교섭에 나섰다. 올해 전삼노에서 주장한 인상률은 6.5%다.

CWN 소미연 기자
pink2542@cwn.kr


[ⓒ CWN(CHANGE WITH 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소미연 기자

소미연 기자 / 산업1부 차장

재계/전자전기/디스플레이/반도체/배터리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뉴스댓글 >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