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킨업계 가격 줄인상 가시화…소비자는 ‘아웃 오브 안중’?

조승범 기자 / 2024-04-19 12:23:02
작년 교촌·bhc 이어 굽네도 최근 가격↑…업계 줄인상 예고
소비자단체 “가격 인상보단 수익성 강화 노력부터 선행돼야”
▲ 한 시민이 지난 15일 서울시내 한 굽네치킨 매장 앞을 이동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CWN 조승범 기자] 치킨업계 5위 굽네가 가격을 인상하면서 지난해 가격을 올린 교촌치킨과 bhc등과 같이 치킨업계에 2만원대 메뉴가 늘어나고 있다. 이를 계기로 치킨 업체들의 가격인상 도미노로 이어질지 여부가 관심사로 떠오른 가운데 업계가 가격대 동결을 위한 대책 선행에 앞서 인상안만 내세운다는 지적도 있다.

4·10 총선이 끝난 지 얼마되지 않은 지난 15일 굽네가 치킨메뉴 9개에 대해 가격을 올리면서, 굽네의 대표 메뉴인 치킨바사삭은 기존 1만8000원에서 1만9900원으로 2만원대에 근접하게 됐다.

또 다른 대표메뉴인 오리지널은 1만6000원에서 1만7900원으로 인상됐고, 남해마늘바사삭은 1만9000원에서 2만900원으로 올랐다. 이밖에 오븐바사삭, 치즈바사삭, 갈비천왕 등도 1900원씩 상향 조정됐다.

이로써 치킨업계에는 2만원대 치킨이 주류가 됐다. 지난해 교촌치킨과 bhc가 일제히 최대 3000원 가격을 올려 인기 메뉴인 허니콤보와 뿌링클 등이 2만원을 넘어섰다. BBQ는 이미 지난 2022년 주요 제품 가격을 2000원 인상해 황금올리브치킨, 황금올리브치킨콤보, BBQ양념치킨 등이 2만원대에 진입했다.

공정거래위원회가 발표한 자료(2022년 기준)에 따르면 전국 치킨 가맹점 수는 BBQ가 2041개로 1위다. 그 뒤를 이어 bhc(1991개)와 교촌치킨(1365개)은 각각 2·3위를 기록 중이며, 굽네치킨은 가맹점 1124개로 업계 5위를 차지하고 있다.

일단 치킨 업계는 가격 인상 움직임에 대해서는 어쩔 수 없다는 입장이어서 소비자들로서는 외식 메뉴 가격이 줄줄이 오를 수 있다는 불안감에 직면하게 됐다.

bhc는 앞서 주문 중개 수수료와 배달 대행 수수료, 인건비, 임대료, 원부자재 가격의 상승으로 가맹점 수익이 악화된 상황이라고 설명한 바 있다. 굽네도 최근 수익성이 저하된 점포들의 요구를 수용해 부득이하게 일부 품목 가격 인상을 결정했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에 반해 BBQ의 경우에는 2022년 가격을 인상한 이후 지난해 10월부터 올리브유와 해바라기씨유를 혼합한 블랜딩 오일을 사용해왔다. 급등한 올리브유 원가 상승분을 상쇄, 현 가격대를 유지하기 위해서다. 이처럼 치킨 업계가 줄줄이 가격을 인상하기 전에 가격 경쟁력 강화 등과 같은 대책을 마련했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 관계자는 CWN에 “치킨의 주요 재료인 닭고기의 2024년 1분기 시세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6% 하락해 원재료 압박이 커진 것으로 보이진 않는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굽네치킨의 가격인상 단행에 대해 “가맹점의 수익 악화를 들고 있기는 하나, 가격 인상이 아닌 본사 차원에서 가맹점 수익구조 강화 전략을 모색하는 방법을 강구했다면 소비자도 굽네치킨을 더 많이 선택했을 것으로 보인다”고 강조했다.

이어 “이는 치킨프랜차이즈 업체들이 상품 가격대를 비슷한 수준으로 형성함으로써 소비자의 가격 선택권을 제한하는 것이라 보여진다”고 지적했다.

그러나 치킨 업체의 입장은 소비자단체와는 달랐다. 

bhc 관계자는 “외식 물가는 재료비, 인건비, 세금 등 다양한 요소가 반영된다. 가격은 (재료비) 한 가지로만 결정되는 건 아니”라며 “가격조정을 하지 않으면 가맹점주들은 어떻게 하느냐? 그들 입장에서는 다른 비용이 다 오르는 데 치킨값이 그대로이면 곤란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각 업체가 치킨 가격을 올리는 시기는 업체별 상황에 따라 다르다”며 치킨 업체들이 일정 시기를 맞춰 가격을 인상하려 한다는 일각의 주장에는 선을 그었다.

한편, 교촌치킨 관계자는 국내산 재료와 특화된 조리법으로 앞으로 더욱 고객 만족도를 높이겠다는 말로 입장을 대신했다. 

CWN 조승범 기자
csb@cwn.kr

[ⓒ CWN(CHANGE WITH 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조승범 기자

조승범 기자 / 산업2부

생활/유통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뉴스댓글 >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