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태원 “AI는 성장엔진이자 안보 자산… 한국, 병목 해소의 테스트베드 될 것”

신현수 기자 / 2025-10-29 16:00:00
2025 APEC 계기 ‘퓨처테크포럼 AI’서 한국형 AI 발전 전략 제시
AWS·OpenAI·네이버 등 글로벌 리더 참여해 AI 협력 비전 논의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기술 자립과 신뢰 기반 협력을 두 축으로 하는 인공지능(AI) 전략을 한국과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발전 모델로 제시했다.

SK그룹은 28일 경북 경주시 경주엑스포대공원 문무홀에서 ‘2025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부대행사로 ‘퓨처테크포럼 AI’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포럼은 ‘AI 시대의 도전과 기회, 국가 AI 생태계 전략과 해법 모색’을 주제로 미국, 싱가포르, 페루 등 APEC 주요 회원국 정부와 기업, 학계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최 회장은 ‘AI 생태계 구축(Building an AI Ecosystem)’을 주제로 한 환영사에서 “AI를 빼고는 비즈니스 화제가 없다”며 “AI가 이제는 국가의 성장엔진이자 안보 자산으로 자리 잡았다”고 말했다. 그는 OpenAI의 ‘ChatGPT’를 ‘AI 쇼크’로 표현하며 “글로벌 강대국들이 기술 인프라를 통해 전략 경쟁에 나서고 있다”고 진단했다.

▲ 자료제공=SK그룹

또한 “AI를 하느냐, 하지 않느냐에 따라 개인·기업·국가 간 격차가 커질 것”이라며 한국의 해법으로 ‘기술 자립’과 ‘신뢰 기반 협력’을 제시했다. 민관 협력 기반의 AI 컴퓨팅 인프라 구축,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프로젝트 등을 자립의 예로 꼽았고, SK그룹이 AWS와 함께 추진 중인 ‘SK AI 데이터센터 울산’과 OpenAI와의 ‘스타게이트’ 협력을 협력 사례로 언급했다.

최 회장은 지난해 제기했던 반도체·에너지 등 병목현상에 대해 “한국은 빠른 적응력으로 병목 해소의 테스트베드가 될 것”이라며 “이 경험을 바탕으로 AI 확산과 진화를 가장 빠르게 이뤄낼 것”이라고 자신했다.

이날 포럼에는 하정우 대통령비서실 AI미래기획수석비서관, 매트 가먼(Matt Garman) AWS CEO, 최수연 네이버 CEO, 김경훈 OpenAI Korea 총괄대표, 유영상 SK텔레콤 CEO, 사이먼 밀너(Simon Milner) 메타 부사장 등이 참석해 연설과 토론을 진행했다. 글로벌 AI 석학인 최예진 스탠퍼드대 교수와 니틴 미탈(Nitin Mittal) 딜로이트 글로벌 AI 리더도 함께했다.

SK그룹은 행사와 함께 경주엑스포대공원 야외특별관에서 열린 ‘K테크 쇼케이스’에 참가해 ‘AI 데이터센터 솔루션’을 선보였다. AI 인프라 핵심인 반도체, 냉각, 운영·보안 기술을 통합한 이 솔루션은 SK텔레콤·SK하이닉스·SKC·SK엔무브 등 그룹사 역량이 집약됐다.

SK그룹은 “APEC을 계기로 열린 이번 퓨처테크포럼 AI에서 논의된 자립과 협력의 AI 발전 전략이 아시아·태평양을 넘어 글로벌 AI 생태계의 방향을 제시하길 바란다”며 “11월 3일 열리는 ‘SK AI 서밋’에서도 같은 비전이 이어질 것”이라고 밝혔다.

CWN 신현수 기자
hs.shin.1716@gmail.com

 

[ⓒ CWN(CHANGE WITH 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신현수 기자

IT/Tech, 금융, 산업, 정치, 생활문화, 부동산, 모빌리티

뉴스댓글 >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