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개인 맞춤형 건강관리 플랫폼 '캐즐' 연출 이미지. 사진=롯데헬스케어 |
롯데그룹의 신성장 사업 일환으로 추진해온 롯데헬스케어 사업이 끝내 종료됐다.
롯데지주는 24일 임시 주주총회를 열고 롯데헬스케어의 법인 청산을 결의했다고 공시했다. 롯데헰흐케어는 롯데지주가 지분율 100%를 보유 중이었다.
롯데헬스케어는 지난 2022년 설립된 뒤 개인 맞춤형 건강관리 플랫폼 '캐즐' 앱을 출시하는 등 헬스케어 분야에 적극적으로 행보를 보여왔다. 하지만 지난해 연결 기준 매출 8억3661만원, 영업손실 228억9463만원을 기록하며 부진을 면치 못했다.
이런 가운데 그룹 내 전체적인 유동성 위기까지 거론되자, 롯데헬스케어를 정리하는 수순을 밟게 된 것이다. 이미 롯데지주는 지난달 발표한 기업가치제고(밸류업) 계획에서 기존 4대 신성장 사업인 '헬스 앤 웰니스'를 '바이오 앤 웰니스'로 교체하면서 그러한 의도를 분명히 했다.
향후 롯데는 시니어타운, 푸드테크 등 분야를 통해 헬스케어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이와 관련한 대표적인 사업은 호텔롯데의 시니어 레지던스 브랜드 'VL(Vitality & Liberty)'이다. 호텔롯데는 내년 1월 부산 기장에서 'VL 라우어'를 오픈하고, 내년 10월 서울 마곡에서 'VL 르웨스트' 운영에 돌입한다.
롯데 측은 롯데헬스케어 직원들에게 그룹 계열사 유관 부서로 이동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으며 이미 직원 상당수가 옮긴 상태라고 설명했다.
CWN 손현석 기자
spinoff@cwn.kr
[ⓒ CWN(CHANGE WITH 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김대선 칼럼] 종교의 자유와 생명평화 문화의 확산](https://cwn.kr/news/data/2025/10/20/p1065590165479262_556_h.png)
![[구혜영 칼럼] 시스템 말고 사람을 교체하라](https://cwn.kr/news/data/2025/10/16/p1065594348054313_792_h.png)
![[기고] 필드하키, 남북 평화를 여는 새로운 그라운드](https://cwn.kr/news/data/2025/09/08/p1065577652443752_295_h.png)
![[윤창원 칼럼] 뜨는 도시, 지는 국가 – 지방정부 국제교류의 자율과 책임](https://cwn.kr/news/data/2025/08/27/p1065597151274916_658_h.pn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