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와 서울산업진흥원(이하, SBA)은 바이오 분야와 인공지능(AI) 분야 R&D 지원사업에 적극 투자한다고 지난 21일 밝혔다. 중소·벤처·창업기업 대상으로 기술상용화(공개평가, 크라우드펀딩) 지원사업까지 합하면 총 예산규모는 연간 387억원이다.
2019년 서울형 R&D 지원사업이라는 타이틀로 본격 추진되는 이 사업에서 인공지능(AI) 분야에 배정된 예산은 28.8억원 규모. 과제형 R&D 자금 지원방식으로 과제 당 최대 3억원을 지원할 계획이다.
시는 이 사업 추진으로 서울시 양재동 지역의 혁신허브 거점화가 가속화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인공지능을 활용하는 기업과 대학 등(컨소시엄)도 진행중인 AI 관련 사업에 어느 정도의 마중물을 끌어들일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하는 분위기다.
과제 선정 키워드는 '융합'과 '생활 밀착형 기술'이다. 관련해 서울시 관계자는 '인공지능(AI)을 적용하여 산업 전 분야(모바일, 정보통신, 제조업 등)에 걸쳐 기술 융합을 통해 시민 생활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과제를 선정'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이와 관련해, 시는 과제 R&D 성과 도출을 위해 과제 수행 단계별 평가가 강화방침을 밝혔다. 과제 종료 후에는 5년간의 사후관리도 받아야 한다. 그러나 이는 통상적인 정부과제들도 채택하고 있는 평가 및 관리방식이다. 이에 대해 시는 구체적인 차별점은 밝히지 않았다.
한편, 기술상용화 지원사업 부부문에서는 선정된 과제에 대해 6개월간 연구사업비 지원, 지식재산 보호, 판로개척, 창업지원 등의 후속조치도 전폭 지원한다. 이는 기업입장에서 사업의 연속성과 지속가능성을 담보할 수 있는 좋은 기회다.
풀어야 할 숙제도 많다. 우선 통상적인 정부과제들이 예산 따먹기 논란과 비효율적인 자금 투입방식 등으로 과제수행 기업 및 컨소시엄에게 불편을 초래한다는 인식을 넘어서야 한다. 최근 붉어졌던 양재R&CD혁신허브 내부 직원들의 예산 남용 및 성추행 의혹 등의 문제와 관련한 사업의 투명성 담보도 해결해야 할 숙제다.
이번 사업과 관련한 자세한 사항은 ‘서울산업진흥원’, ‘서울R&D지원센터’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 CWN(CHANGE WITH 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