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노의약품이 간에 축적되지 않고, 체내 특정 부위에 약물을 제대로 전달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고 디지털타임스가 전했다. 한국원자력연구원 첨단방사선연구소는 박정훈 박사 연구팀이 사이클로트론(입자가속기)을 활용해 간에 쌓이지 않고 암세포에 도달하는 '의료용 철 나노입자'를 개발했다고 13일 밝혔다. 연구팀은 100∼200나노미터 크기의 철 나노입자 내부에 진단용 동위원소인 '지르코늄-89(영상진단에 쓰이는 방사성동위원소)'를 안정적으로 결합시킨 후, 고분자로 코팅해 표면 전하를 중성으로 만들었다. 특히 나노입자가 음전하 또는 양전하가 아닌 중성으로 만들어져 혈청 단백질과 결합이 줄어 들고, 입자끼리 뭉치지 않아 간에 오래 머물지 않고 종양에 도달할 수 있다.
[ⓒ CWN(CHANGE WITH 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