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항공 여객 수 4년 만 1억명 돌파···일본 노선 가장 높아

박용수 / 2024-01-11 11:24:57
2019년 대비 국내선 97.6%·국제선 75.6% 회복률
미주·일본 노선 4년 전보다 늘어
중국 노선은 '단체관광'→‘개별관광’ 37.1% 그쳐
지난해 인천공항에서 해외로 떠나는 여행객 모습. 【CWN 자료사진】
지난해 인천공항에서 해외로 떠나는 여행객 모습. 【CWN 자료사진】

[CWN 박용수 기자] 엔데믹을 맞은 지난해 국내선·국제선을 합한 항공 여행 여객 수가 4년 만에 1억명을 돌파했다.

국토교통부는 지난해 전체 항공 여객 수가 1억50만8875명으로, 2019년(1억2336만6608명)의 81.5%를 회복했다고 11일 밝혔다. 2020∼2022년 연간 항공 여객 수는 2019년의 절반에도 못 미쳤다.

지난해 국내선 항공 여객 수는 3219만명으로 2019년(3298만명)의 97.6% 수준이었으며, 국제선 항공 여객 수는 6832만명으로, 4년 전(939만명)의 75.6%로 회복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코로나19 기간인 2021년 국제선 항공 여객 수는 321만명에 그쳤다.

지난해 일본으로 가는 항공 노선표 사진=뉴시스
지난해 일본으로 가는 항공 노선표 사진=뉴시스

2019년과 비교한 지난해 지역별 국제선 회복률을 보면 일본이 102.8%로 개별 국가 가운데 가장 높았다. 지난해 일본 노선 이용객은 1938만명으로 2019년에 비해 약 50만명 이상 늘었다.

1년 내내 이어진 엔저(엔화 약세) 현상으로 여행 비용이 크게 줄었고 항공편 공급도 급증한 데 따른 것이다.

지난해 미주 노선 항공 여객 수는 561만명으로 2019년에 비해 1.2% 늘었다. 미주는 다른 지역들보다 상대적으로 회복이 빨랐다.

반면 중국 본토 노선 여객 수는 지난해 685만명에 그쳐 2019년(1843만명)의 37.1%에 불과했다.

지난해 8월 중국인의 한국 단체관광이 재개됐지만 중국 경기 침체로 해외여행 수요 자체가 줄었고, 단체관광 위주였던 여행 트렌드가 개별 관광으로 바뀐 점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유럽 노선은 지난해 263만명이 이용하면서 회복률 64.5% 보였고, 대양주 노선은 263만명으로 회복률 75.3% 기록했다.

일본과 중국을 제외한 아시아 노선은 지난해 2850만명이 이용해 78.2%의 회복률을 나타냈다.

한편 아시아 노선 중에서는 말레이시아(120만명·52%)와 홍콩(182만명·50%), 마카오(22만명·25%) 등의 회복률이 낮았다.

CWN 박용수 기자

exit750@cwn.kr

[ⓒ CWN(CHANGE WITH 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박용수

IT/Tech, 금융, 산업, 정치, 생활문화, 부동산, 모빌리티

뉴스댓글 >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