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 등 ‘할인' 혜택…정부, 2030년까지 전국 123만 충전소 목표

[CWN 김정후 기자] 전기차 침체에 제조사와 정부가 각자의 해결책을 내놓고 있다.
전기차 수요가 같은 친환경 차량인 하이브리드차에 비해 떨어지는 것으로 드러났다. 6일 국토교통부의 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신규 등록된 하이브리드차는 30만9164대로 전년대비 21만1304대 증가했다. 같은 기간 전기차 신규 등록 대수는 16만2593대로 1900여대 감소했다.
두 차량은 출고 기간에서도 차이가 났다. 현대자동차·기아에 따르면 이달 기준 기아 카니발 하이브리드 출고에는 1년이 걸린다. 카니발 하이브리드의 최상위 옵션인 그래비티의 경우 20개월로 늘어난다. 내연기관 차량이 2개월 정도 걸리는 것을 감안하면 그 인기를 짐작할 수 있다.
반면 전기차 출고 기간은 하이브리드차에 비해 현격히 짧다. 현대차 아이오닉5와 아이오닉6, 기아 EV6과 EV9, 제네시스 GV60과 GV70·G80 전동화 모델 등은 모두 출고 기간이 1개월 수준이다. 지난해 같은 기간에는 출고에 약 1년 걸렸던 바 있다.
이에 제조사는 전기차 판매 촉진을 위해 구매 혜택을 확대한다. 현대차는 차령 10년 이상 경과 차량을 보유한 고객이 전기차를 구매하면 50만원을 할인한다. 기아는 승용 전기차에 한해 내연기관차보다 낮은 5%대 할부 금융상품을 내놨다.
수입차의 경우 폭스바겐은 폭스바겐 ID.4를 최대 13% 할인한다. 이 차량은 아이오닉5 등 국산 전기차와 가격대가 비슷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BMW는 최신 전기차 i5를 최대 13%, 메르세데스-벤츠는 EQE를 최대 15%까지 할인 판매한다.
정부도 지원에 나선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달 ‘친환경 모빌리티 규제혁신방안’을 발표했다. 이 중 친환경자동차의 요건 등에 관한 고시에 따르면 기존 건물은 주차면수의 2%, 새로 짓는 건물은 주차면수의 5%를 전기차 충전 공간으로 마련해야 한다. 이와 함께 급속충전기를 설치한 건물에 대해선 의무 주차면수 규제를 완화할 방침이다.
이에 더해 올해 2475억원의 보조금 예산을 편성해 급속충전 인프라 확충을 지원한다. 이는 전년보다 43.7% 늘어난 수치로 역대 최대다. 또 오는 2030년까지 전기차 420만대 보급을 위해 충전기 123만기를 설치한다. 이 중 14만5000기가 급속충전기다. 지난해 11월 기준 전국에 설치된 급속충전기는 3만 2405기로 향후 7년간 매년 1만6000기 이상 보급을 목표로 하는 셈이다.
안덕근 산업부 장관은 혁신 방안을 발표하며 “모빌리티 기업의 경제 운동장이 넓어지도록 제도를 바꾸겠다”고 말했다. 이어 “친환경 모빌리티 규제혁신방안을 빠르게 실천해 성장의 걸림돌을 제거하고 시장이 활짝 열릴 수 있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CWN 김정후 기자
kjh2715c@cwn.kr
[ⓒ CWN(CHANGE WITH 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