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견 건설사 줄도산 위기…‘4월 위기설’ 현실화되나

최한결 / 2024-03-06 14:00:00
올 들어 폐업 건설사 685곳…중견업체 5곳 부도 처리 ‘비상’
고금리·고물가 여파에 미분양 등이 발목, 업계 긴장감 최고조
업계 관계자 “IMF나 금융위기 때 축적한 노하우로 극복 기대”
건설업계가 줄도산 우려로 긴장감이 심하다. 사진=픽사베이
건설업계가 줄도산 우려로 긴장감이 심하다. 사진=픽사베이

[CWN 최한결 기자] 건설업계의 위기감이 최고조에 이르고 있다.

올해만 벌써 5곳의 건설사가 부도 처리되면서 4월 총선 이후 건설사 연쇄 부도를 우려한 ‘4월 위기설’이 확산 중이다. 일부 건설사는 자산 매각과 할인 분양 등 대책을 내놓고 있지만 고금리로 늘어난 이자 부담과 원자재가격 상승 등 악재가 겹치면서 휘청거리고 있다.

6일 건설산업지식정보시스템(KISCON)에 따르면 올해 들어 폐업한 건설사는 종합건설사 79곳, 전문건설사 606곳 등 685곳에 달했다. 부도 처리된 전문건설사도 5곳으로 광주, 울산, 경북, 경남, 제주 등 모두 지방 소재 건설사다. 대형 건설사들은 제살을 깎아서라도 살아남고 있지만 그럴 여력조차 없는 이들 건설사들은 사업을 포기하는 수순을 밟는 것이다.

최근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회생법원은 최근 선원건설에 대한 포괄적 금지 명령을 내렸다. 포괄적 금지명령은 회생 절차가 시작하기 전까지 자산을 동결하는 것으로 법원 허가 없이 가압류나 채권 회수가 금지된다. 회사가 자체적으로 자산을 처분하지 못한다.

경기도 가평 소재의 선원건설은 시공능력평가 122위 업체다. 지난해 토건 시공능력평가액은 2267억9500만원으로 경기지역 상위권 건설업체로 꼽힌다. 하지만 자잿값이 사승하고 오피스와 주상복합, 물류센터 등 일부 사업의 준공 시기가 맞물리면서 일시적인 자금 경색에 몰린 것으로 알려졌다.

인천 부평구에 위치한 영동건설은 설립 30년 만에 법정관리를 신청했다. 울산 1위 건설사인 부강종합건설 역시 법원의 포괄적 금지명령을 받았다. 두 건설사 모두 시공능력평가액 1400억원대 전국 170위권의 종합건설사다.

국내 도급 순위 105위 중견건설사 새천년종합건설은 지난달 29일 서울회생법원에 법정관리를 신청했다. 이 때문에 충남 아산 ‘아르니 퍼스트’, 양산 ‘천년가 더힐’ 등 보령 ‘아르니 라포레’ 등 주요 사업 추진에 차질이 빚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나성종합건설과 계열사 나성산업개발, 세종비케이개발은 한꺼번에 법정관리를 신청해 법원의 포괄적 금지명령을 받았다. 나성종합건설은 세종시에서 도시형 생활주택 완전 판매에 성공하며 최근 주목받던 건설사다.

지역 내 우량기업으로 손꼽히던 종합건설사도 자금난을 피하지 못했다. 지난해까지 3년 연속 울산 내 토목건축업 1위를 차지했던 부강종합건설은 지난달 법원의 포괄적 금지 명령을 받았다.

이처럼 법정관리를 신청하거나 폐업으로 내몰린 업체 대다수가 지방에서 활동 중인 중소형 건설사였다. 고금리·고물가·고환율과 글로벌 경기침체에 따라 건설 경기가 계속 나빠지고 있는 가운데 대형사보다 일감 수주, 유동성 확보에 더 취약하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여기에 시공능력평가 16위인 태영건설마저 지난달부터 워크아웃(기업개선작업) 절차에 돌입하면서 건설업계 전반에 걸쳐 긴장감이 극에 달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미분양 물량이 줄어드는 것도 요원한 상황이다.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2024년 1월 주택통계’에 따르면 전국 미분양 주택 수는 6만3755가구로 집계됐다. 전월 6만2489가구보다 1266가구(2.0%)나 늘었다.

악성으로 손꼽히는 준공 후 미분양도 전월 1만857가구보다 506가구(4.7%) 증가한 1만1363가구로 나타났다. 특히 미분양 물량의 약 80%는 비수도권에 집중됐다.

건설업계 한 관계자는 CWN과의 전화 인터뷰에서 “지방은 물론 서울에서도 미분양 걱정을 해야 하는 상황인데 이젠 강남 3구도 예전 같은 열기를 찾아보기 힘든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어 “지난 2014년부터 부동산 경기가 괜찮았던 상황이라 건설업계에서도 사실 이 정도로 갑작스러운 급락을 예상하기 어려웠다”면서 “미분양 여파로 보증도 어렵고 금융기관들은 자금대출도 안해주는 상황이다 보니 규모가 작은 지방 건설사들이 연쇄적으로 무너지거나 움츠러드는 건 예견됐던 사실”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이 관계자는 최근 건설업계에 제기된 ‘4월 위기설’에 대해서는 선을 그었다. 그는 “업계 시장이 워낙 어렵다보니 그만큼 위기의식이 고조돼 나오는 얘기”라며 “위기설 자체의 그 어떤 실체적인 근거가 없으니 답하기 힘들다”고 말했다.

향후 전망을 묻는 질문에는 “현실적으로 건설업계 상당수의 구조조정은 피할 수 없다고 본다”며 “다만 긍정적인건 IMF, 글로벌 금융위기 때도 사실 원인이 부동산이 촉발시킨 위기다. 이미 그런 경험을 거쳐 대응책이나 노하우가 갖췄기 때문에 견실한 건설업체는 크게 어려움이 없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CWN 최한결 기자
hanbest0615@cwn.kr

[ⓒ CWN(CHANGE WITH 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최한결

IT/Tech, 금융, 산업, 정치, 생활문화, 부동산, 모빌리티

뉴스댓글 >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