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계 관계자 “올해 3분기 티메프 사태로 여행업계 실적 하락할 것”
![]() |
▲ 1일 오전 서울 강남구 티몬 본사가 보이고 있다. 한국소비자원은 '티몬·위메프 집단분쟁조정' 신청 접수를 온라인을 통해 받는다. 사진=뉴시스 |
[CWN 조승범 기자] 티메프(티몬·위메프) 사태가 확대되면서 여행업계가 큐텐 계열 플랫폼에서 철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티몬과 위메프 모기업인 큐텐의 구영배 대표가 “기회를 준다면 100% 복구할 수 있다”고 했지만 현재 그는 티메프 입점 업체들의 판매 대금을 다른 용도에 쓴 혐의로 검찰 조사를 받고 있다.
1일 업계에 따르면 티몬 애플리케이션에서는 여행·레저 업계 셀러 대부분이 상품을 철수한 것으로 확인됐다. 위메프에서는 여행·레저 카테고리에 소수의 국내 여행 상품만 등록된 상황이다.
특히 하나투어, 모두투어, 인터파크트리플 등 국내 주요 여행사들은 이번 사태로 인한 출혈을 감내한다는 방침이다. 이들 기업은 티몬·위메프가 자본잠식에 빠지면서 지난 6~7월 출발하는 여행 상품에 대한 판매 대금을 정산받지 못하고 있다.
하나투어 관계자는 CWN에 “고객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7월 판매분까지 정상 출발시켰다”며 “(티메프 사태가 본격화 된) 8월 이후에는 티몬과 위메프와의 계약을 아예 해지했다”고 밝혔다.
이어 “이번 사태로 여행업계가 소비자 신뢰를 잃어버리지 않기 위해 고객 피해 최소화에 주력하겠다”고 덧붙였다.
업계 전반에 걸친 반응도 회의적이다. 업계 관계자는 “여행업계 전체가 티몬과 위메프에 판매 대금을 떼인 상황”이라며 “현재 두 회사가 구제 절차를 신청했고 자본금이 없기 때문에 대금 정산은 현실적으로 어렵다고 보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이 관계자는 “이번 사태로 국내 여행업계 3분기 실적은 전체가 하락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런 가운데 관광 도시인 부산에서는 티메프 사태로 여행을 비롯해 관광·숙박 업계가 피해를 봤다. 부산소비자연맹에 따르면 지난 18일부터 현재까지 부산 지역은 티몬에서 415건, 위메프에서 113건의 소비자 피해가 접수됐다. 그 중 여행 및 항공권, 숙박권, 레저 상품권이 70%를 차지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부산소비자연맹은 부산 지역 항공권, 숙박권 판매 피해 사례에 대해 한국소비자원의 집단분쟁조정 신청을 안내하고 있다. 이는 법원이 티몬과 위메프의 기업 구제절차 신청을 받아들여 자금과 채권을 동결했기 때문이다. 현 시점에서 티몬과 위메프는 소비자들에 대한 직접 환불의 의무가 사라진 상태다.
부산소비자연맹 관계자는 “부산 지역 소비자들이 두 회사로부터 보상을 받을 수 있을지 불투명하다”며 “기업회생과 부도 등 여러 말들이 나오고 있어 어떻게 상황이 진행될지 관망하고 있다”고 밝혔다.
여행·레저 관련 사업자들이 티메프 출구 전략을 펼치면서 구영배 큐텐 대표가 설명했던 플랫폼 정상화와 셀러·소비자 피해 복구 방안은 지키지 못할 약속이 될 가능성이 커졌다.
구 대표는 지난달 30일 국회 정무위원회 티몬·위메프 미정산 사태 현안 질의에 출석해 “이번 사태를 해결할 유일한 방법은 티몬과 위메프를 합병하고 구조조정을 하는 것”이라고 밝힌 뒤 사기와 횡령·배임 등 혐의로 검찰 조사를 받고 있다.
업계에서는 티몬과 위메프가 시장에서 신뢰가 급격히 하락한 가운데 구조조정은 소용없다고 보고 있다. 큐텐 계열 플랫폼에 다시는 입점하지 않을 것이라는 여론도 확산 중이다.
CWN 조승범 기자
csb@cwn.kr
[ⓒ CWN(CHANGE WITH 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