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자 관심 집중' 시가총액 TOP5 메타버스 토큰은 ?

오영주 / 2021-11-29 21:13:46

메타버스 가상자산이 투자자들의 관심을 받고 있다. 글로벌 가상자산 투자회사 그레이스케일이 25일(현지시간 기준) 발표한 ‘메타버스 웹 3.0 가상 클라우드 경제’ 보고서에 따르면 메타버스는 광고·전자상거래·하드웨어 등의 분야에 걸쳐 연간 1조 달러(약 1193조원)의 수익 기회가 될 것으로 점쳐졌다.

특히 메타버스 게임 시장의 수익을 2020년 약 1800억달러에서 2025년 4000억달러약 477조 5660억원)로 2배 이상 증가할 것으로 추정했다.

그렇다면, 주목할만한 메타버스 가상자산은 무엇이 있을까? 코인게코(CoinGecko)에서는 27일 시가 총액 기준 상위 5개 메타버스 토큰을 다음과 같이 엑시인피니티, 디센트럴랜드, 샌드박스, 엔진코인, 렌더토큰으로 선정했다.

1. 엑시인피니티(AXS)

사진 출처 : 엑시인피니티 홈페이지

엑시인피니티는 외모와 능력치가 각각 다른 ‘엑시’라는 NFT 캐릭터를 수집해 육성하는 플레이 투 적립 게임이다. 엑시인피니티는 현재까지 24,000% 이상의 놀라운 수익을 올렸으며 2021년 3분기 매출은 전분기 대비 48배 증가했다. 암호화폐 데이터 분석 업체 메사리 소속 애널리스트 라이언 왓킨스는 4일(현지시간)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NFT 게임 엑시인피니티의 2021년 3분기 매출은 전분기 대비 48배 증가한 7억8200만 달러를 기록했다"고 말했다.

또한 CNBC는 코로나19로 인한 록다운으로 경제적 어려움에 처한 필리핀 사람들이 이 게임을 통해 수입을 얻고 있으며, 세대를 가리지 않고 이러한 동향이 확산되고 있다고 소개한 바 있다. 야후파이낸스의 26일 보도에 따르면 엑시인피니티가 이날 괴물배틀 판타지 NFT 게임 내 수익성이 좋은 토지 구획이 550이더리움(230만 달러, 약 27억원)에 낙찰됐다고 발표했다. 엑시 인피니티 측은 트위터를 통해 가상 부동산에 지불된 금액 중 가장 큰 금액이라고 전했다.

2. 디센트럴랜드(MANA)

사진 출처 : 디센트럴랜드 홈페이지

디센트럴랜드는 3D 가상 현실 플랫폼으로 플레이어는 MANA 토큰을 사용하여 지불할 수 있는 토지 구획을 소유하고 개발할 수 있다.

게임 내에는 사람들이 공간과 예술 작품을 만드는 데 사용할 수 있는 도구가 있어 중세 던전 미로에서 카지노와 바에 이르기까지 건설 가능하다. 파티에서 포커 게임 및 전시회 등 정기적인 이벤트도 있다. 데드마우스(Deadmau5)와 패리스 힐튼(Paris Hilton)의 공연이 헤드라인을 장식 하면서 음악 축제를 개최하기도 했다.

한편, 토큰닷컴의 자회사인 메타버스그룹은 618,000 MANA(당시 242만 8,740 달러)를 들여 디센트럴랜드의 가상 부동산 패치를 구입했으며, 11월 10일 업비트 기준 최근 한달 간 가장 많이 상승한 암호화폐 1위를 차지하기도 했다. 디센트럴랜드(MANA)는 업비트 기준 1개월 동안 무려 255.32% 급등했다.

3. 샌드박스(SAND)

사진 출처 : 샌드박스 홈페이지

샌드박스는 플레이어가 게임과 경험을 만들고 공유할 수 있는 토지를 구입할 수 있다는 점에서 디센트럴랜드와 매우 유사하다. 다만 NFT 생성에 더 중점을 두며, 사용자는 샌드(SAND) 토큰을 이용해 이더리움 블록체인으로 구현한 게임 내에서 사용할 수 있다.

샌드박스는 오픈씨(OpenSea), 스눕독(Snoop Dogg) 등 최근 몇 달 동안 수많은 파트너십을 발표했으며, 최근에는 스포츠 브랜드 아디다스와의 협력 소식이 들려오며 25일 코인마켓캡 기준 지난 24시간 대비 무려 40% 가량 상승하기도 했다. 또한 9,300만 달러의 모금 라운드를 마감한 바 있다

4. 엔진코인(ENJ)

엔진은 NFT를 만들고 관리할 수 있는 플랫폼으로 여러 게임 플랫폼과 통합돼 플레이어가 여러 게임에서 아이템을 사용하거나 시장에서 판매할 수 있다. 엔진에서는 ENJ 코인을 활용할 수 있다.

헤지펀드 영업 및 투자 은행 거래 전문가 엘리엇 레이본에 따르면, ENJ의 시가총액은 32억 5천만 달러다. 또한 팬케이크스왑 다음으로 가장 가치 있는 암호 화폐 55위를 기록했으며, 시세는 26일까지 50% 상승했다.

5. 렌더 토큰(RNDR)

사진 출처 : 랜더토큰 홈페이지

렌더는 컴퓨팅 성능을 활용하여디지털 콘텐츠의 렌더링 또는 묘사를 수행하는 분산형 인프라다. 분산된 인프라는 사용하지 않는 컴퓨터 처리 능력을 활용하여 디지털 콘텐츠를 렌더링한다.

이는 디지털 제작자가 값비싼 컴퓨팅 장비에 많은 돈을 쓸 필요가 없고 네트워크 참여자가 보상을 받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즉, 확장 가능하고 환경 친화적이며, 효율적인 3D 콘텐츠를 만들 수 있는 것이다.

렌더 토큰은 21일 기준 시가 총액이 11억 8000만 달러 이상으로 증가했으며, 외신인 zazoom에 따르면, 같은 기간 동안 거래량이 56% 증가했다.

[ⓒ CWN(CHANGE WITH 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오영주

IT/Tech, 금융, 산업, 정치, 생활문화, 부동산, 모빌리티

뉴스댓글 >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