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대기업과 대학교가 함께 손잡고 개발 중인 AI(인공지능)기술 분야에서 하나둘 성과가 나오고 있다.
14일 AI원팀은 산학연 공동연구를 통해 4종의 AI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개발한 AI기술 중 ▲로봇 실내 공간지능 ▲로봇 소셜 인터랙션(Social Interaction) ▲보이스 클로닝(Voice Cloning) ▲한국어 E2E 음성인식 트랜스퍼 러닝(Transfer learning)은 KT AI사업과 서비스의 핵심 기술로 활용한다.
AI원팀은 2020년 2월 출범 이후 40여명의 국내 AI전문가 그룹인 AI구루(Guru)그룹을 구성해 현안 해결 프로세스 라운드테이블에서 기업 난제를 논의해왔다. 그 결과 산학연 공동 연구과제가 결정됐으며 작년 무빙 픽처, 딥러닝 음성합성 등 4개 기술을 개발해 공개한 바 있으며 이번에 4개 AI기술을 추가로 개발했다.
AI 원팀은 KT를 비롯해 현대중공업그룹, LG전자, 한국투자증권, 동원그룹, 우리은행, ㈜한진, 한국과학기술원(KAIST), 한양대,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까지 총 10개 산학연이 참여하고 있다.
이날 엔씨소프트는 고려대학교 임희석 교수 연구팀과 공동연구를 통해 구축한 인공지능(AI) 대화 데이터 'FoCus 데이터셋'을 공개했다. 이는 사용자 개인의 페르소나(Persona)와 외부 지식을 모두 활용하는 세계 최초의 AI 대화 데이터셋이다. 8000여개의 광범위한 주제를 다룬 1만5000개 이상의 대화로 구성돼 있다.
FoCus 데이터셋을 적용한 AI는 대화하고 있는 사용자의 경험, 선호, 소유, 흥미 등을 파악하고 위키피디아에서 이야기 주제에 대한 최신 지식을 실시간으로 습득해 자연스러운 대화가 가능하다는 설명이다.
FoCus 데이터셋은 초거대 언어 모델을 사용하지 않고도 같은 성능의 대화 기술 구현이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현재 일반적인 대용량 언어모델은 학습과 추론에 많은 비용이 들지만, 실시간 지식과 개인의 경험을 반영하는데 한계를 나타내고 있다.
공동연구팀은 세계 최고 권위의 인공지능학회 'AAAI 2022'에서 해당 연구 논문을 게재 및 발표했다. 오는 10월에는 세계 전산언어학회인 'COLING 2022'에서 데이터 활용 경진 대회를 비롯한 연구 성과를 공유하는 워크샵을 고려대와 공동 개최한다.
또 한화시스템은 고려대 인공지능공학연구소(KU-AIER)와 '미래 인공지능 핵심기술 공동연구'를 위한 산학협력 발대식을 개최했다. 한화시스템은 AI전문가 양성 중심으로 운영되던 기존 협력 프로그램에서 사업화 적용이 가능한 실사례 기반의 연구로 전환해 실질적인 성과를 창출해 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한화시스템과 고려대 인공지능공학연구소는 이번 발대식을 시작으로 기존에 진행하던 고려대와 인공지능 협력을 강화해, 원천 AI기술 연구개발과 실제 산업현장에서 AI솔루션을 신속하게 적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전문가와 협력을 확대할 계획이다.
[ⓒ CWN(CHANGE WITH 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