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공지능산업융합사업단은 AI 헬스케어실증센터의 ‘피부 진단 시스템’, ‘체형 굴곡 측정기’, ‘자율신경 측정 시스템’, ‘근적외선 뇌 영상 시스템’ 등 장비를 통해 전국 최초 개방 목적으로 수집한 다량의 데이터를 개방한다.
이번 데이터 개방으로 그동안 데이터 부족으로 창업의 어려움을 겪었던 AI 스타트업들의 비즈니스 성공을 가속화하고, 시민들에게 질 높은 의료 서비스를 제공해 헬스케어 산업 생태계가 활성화가 기대된다.
인공지능산업융합사업단은 이날 광주 빛고을노인건강타운 헬스케어실증센터에서 수집된 데이터와 K-헬스 사업 플랫폼 내 데이터를 한데 모아 올해 말 AI창업캠프 내 데이터 안심 구역에서 동시 개방했다.
안심구역은 미개방 데이터를 반출 없이 AI 기업이 안정적으로 분석·활용할 수 있는 공간으로, 이용자 개인 동의를 받고 수집된 헬스케어 데이터들을 비식별화 등의 절차를 걸쳐 제공됨에 따라 보안성 문제 걱정이 전혀 없다.
인공지능산업융합사업단은 그동안 빛고을노인건강타운 내 AI헬스케어실증센터에 구축된 헬스케어 측정 장비 당 노인 1000여 명을 측정한 다종의 데이터를 수집해왔다.
지난 2021년 개소한 빛고을노인건강타운 헬스케어 실증센터는 총 16종의 헬스케어 장비가 구축돼 노인들에게 자가 건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고 고령자 체성분, 보행, 체형, 피로도, 근력 데이터 등을 수집하고 있다.
헬스케어실증센터에 구축된 헬스케어 측정 장비 중 ‘피부 진단 시스템’은 모공, 유분, 주름, 색소침착, 수분, 탄력, 피부톤, 피부온도 분석 및 유분, 모공, 두피타입, 모발 손상도, 모발 밀도 분석을 통해 피부 상태변화 예측 기능, 고객 연령대를 비교 분석한다.
‘체형 굴곡 측정기’는 척추 및 자세 분석을 통해 척추 측만증, 척추 후만증, 척추 전만증을 진단하고, ‘전신반응 분석 시스템’은 보행에 따른 다양한 시·공간적인 변인 측정 기능을 하며 보행 능력 분석과 보행에 따른 다양한 변인을 측정한다.
‘근적외선 뇌 영상 시스템’은 뇌 혈류 내 산소 포화도 측정, 뇌 산소포화도를 모니터링해 피부 상태변화 예측, 고객 연령대를 비교 분석한다.
이와 함께 인공지능산업융합사업단은 AI 창업캠프 내 헬스케어 데이터 안심구역에서 K-헬스 사업 의료 데이터 통합 플랫폼 내 데이터도 공개한다.
[ⓒ CWN(CHANGE WITH 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