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 감축과 AI 기술을 테마파크 컨셉으로 전시해 화제

[CWN 지난 기자] SK그룹은 세계 최대 가전·IT 전시회 ‘CES 2024’에서 자사 전시관을 찾은 누적 관람객이 6만여명에 달할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12일 밝혔다.
CES 2024에 ‘행복(Inspire Happiness)’을 주제로 전시관을 운영한 SK그룹은 개막 사흘째(11일) 기준, 6만여명이 관람한 것으로 잠정 집계했다. 이는 지난해 1월 ‘CES 2023’ SK 전시관을 찾은 3만여명에 비교해 두 배 이상 늘어난 수치다.
SK그룹에 따르면 전시관 앞은 행사 내내 오전 9시에 문을 열자마자 길게 줄을 선 관람객들로 장사진을 이뤘다. SK그룹은 탄소감축, AI(인공지능) 등 쉽지 않은 주제를 테마파크에서 즐길 수 있는 어트랙션으로 구성했다.
최태원 SK그룹 회장은 CES 개막 첫날인 지난 9일 SK 테마파크를 찾았다. 최 회장은 “챗GPT가 나온 지 1년 정도 됐는데, 그전까지도 AI가 세상을 어떻게 할 것이라는 생각은 안 했지만 브레이크스루(돌파구)가 일어나다 보니 너도나도 웨이브를 타려고 노력하는 것 같다”고 말했다.
SK그룹은 ‘CES 2022’에서 2030년 기준 전 세계 탄소 감축 목표량의 1%(2억톤)를 줄이겠다고 공표했다. ‘CES 2023’에서는 탄소 감축 로드맵을 실행에 옮기는데 필요한 ‘행동’을 주제로 정하고 SK 보유 기술 및 추진하고 있는 사업들을 선보였다. 이번에는 ‘기후위기가 사라진 넷제로 세상 속에서 느낄 수 있는 행복’을 주제로 관람객들이 오감으로 체험할 수 있는 전시관을 꾸몄다.
라스베이거스의 랜드마크인 스피어(Sphere)를 연상케 하는 지름 6미터의 대형 구체 LED ‘원더글로브(Wonder Globe)’는 관람객들의 SNS용 ‘포토 스팟’으로 인기를 끌었다. 수소연료전지로 운행되는 기차를 타는 ‘트레인 어드벤처’, 도심항공교통(UAM)을 직접 탑승하고 탄소 감축 및 AI 솔루션을 영상으로 관람하는 ‘매직 카페트’ 전시 구역은 한 시간 넘게 줄을 서며 체험할 정도로 관람객이 몰렸다.
SK그룹 관계자는 “이번 CES에서 다소 어려울 수 있는 탄소감축 및 AI 기술들을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새로운 방식의 전시를 했다”면서 “앞으로도 SK의 넷제로를 향한 여정에 더 많은 이해관계자가 공감하고 참여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CWN 지난 기자
qaz@cwn.kr
[ⓒ CWN(CHANGE WITH 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