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개 지자체 과학혁신계획, 지방협의회 통한 예산 연계 매년 추진

[CWN 우승준 기자] 지역에 특화된 과학기술 계획·사업이 관계부처에서 검토·예산까지 ‘토털케어’로 진행될 예정이다.
22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주영창 과기부 과학기술혁신본부장 주재로 17개 시도 및 관계부처가 참여하는 제3회 지방과학기술진흥협의회를 개최했다. 이번 회의에서는 지역에서 수립 중인 과학기술혁신계획 추진현황을 중점으로 검토됐다. 이어 지역에서 제안한 신규사업 추진계획 검토 결과가 논의됐다. 관계부처는 과기부를 비롯해 기획재정부·교육부·산업통상자원부·중소벤처기업부 등이다.
먼저 정부는 지역간 계획의 차별성 확보를 비롯해 전략성 제고를 위한 컨설팅을 지원한다. 이는 지역별 과학기술혁신계획의 일환으로 과학기술 기반의 중장기 발전전략으로 해석 가능하다. 과기부는 지난 2022년 12월에 수립한 제6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에 따라 지자체가 과학기술혁신계획을 수립하도록 지침을 마련했다.
과기부에 따르면 현재 강원·광주·경남·경북·대구·대전·부산·전남·전북·충남·충북 등 11개 지역에서 과학기술을 수립 중이다. 이들 11개 지역은 중점기술 분야와 거점연구기관 육성 등을 통한 구체적인 추진전략과 과제를 담은 혁신계획을 올해 상반기까지 수립할 예정이다.
과기부는 “(11개 지역의 혁신계획 관련) 지속적인 컨설팅 지원과 더불어 지역별 혁신계획 이행을 위한 핵심 신규사업에 대해 지방협의회를 통한 예산 연계를 매년 추진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강원·전북·대전·부산 혁신계획, 정부 예산 연계 후보사업 선정
아울러 이번 지방과학기술진흥협의회에서는 ‘지역별 2025년 신규사업 추진계획’ 검토 결과로 지자체별 신규사업 추진계획을 소관부처에서 검토하기로 했다. 그 결과, 강원·전북·대전·부산에서 제안한 사업이 정부부처 예산 연계 후보사업으로 선정됐다.
과기부에 따르면 △강원은 ‘전주기 천연물 연구개발’을 통한 ‘가능성 바이오소재 개발’ △전북은 농건설기계 등 특수목적기계의 산업전환 핵심기술 개발 △대전은 유전자세포 치료제 등 첨단바이오의약품 제조 혁신 △부산은 친환경 해양모빌리티용 이차전지 개발을 각각 신규사업으로 제안했다. 예산 연계 후보사업들은 검토 결과를 반영해 기획을 보완할 예정이다. 정부는 11개 지역뿐 아니라 세종·울산·경기·제주에서도 지역 경쟁력을 갖는 기술분야의 연구개발 성과 확산을 도모할 수 있는 신규사업을 제안했다.
주영창 과학기술혁신본부장은 “지역에 특화된 과학기술혁신계획에 따라 지역이 지속성을 갖고 전략적으로 과학기술·연구개발을 통한 지역 산업경쟁력 제고에 나서게 될 것”이라며 “지방과학기술진흥협의회를 통해 지역별 과학기술혁신계획이 이행되도록 관계부처가 예산 연계 등을 적극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CWN 우승준 기자
dn1114@cwn.kr
[ⓒ CWN(CHANGE WITH 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