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승인만 남겨둔 대한항공·아시아나 합병, LCC업계도 ‘지각 변동’ 일어난다

김정후 / 2024-02-15 05:00:00
EU, ‘유럽 4개 노선·화물사업 분리’ 승인 조건 내걸어
합병시 3사 통합 LCC 출범…업계 1위 등극 예상돼
김포국제공항 활주로에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의 항공기가 오가고 있다. 사진=뉴시스
김포국제공항 활주로에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의 항공기가 오가고 있다. 사진=뉴시스

[CWN 김정후 기자]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의 합병이 최종 승인될 시 항공업계에 지각 변동이 일어날 전망이다.

14일 업계에 따르면 유럽연합(EU)의 집행위원회(EC)가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의 기업결합을 조건부 승인했다. 이에 대한항공은 미국을 제외한 13개 ‘필수 신고국’의 승인을 마쳤다.

승인 조건은 두가지로 첫번째는 중복 4개 여객 노선(인천~파리·로마·바르셀로나·프랑크푸르트) 운수권 및 공항 이착륙 횟수 이관이다. 이 4개 노선은 저비용항공사(LCC)인 티웨이항공이 받는 것으로 알려졌다. 대한항공은 올해 하반기부터 티웨이항공이 순차적으로 각 노선에 진입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두번째 조건은 아시아나항공 화물사업 부문 분리 매각이다. 아시아나항공 화물사업 부문은 지난해 1~3분기 1조1345억원의 매출을 냈다. 이 같은 ‘대형매물’이 시장에 나오자 항공업계에서는 지각 변동의 조짐이 관측되고 있다. 인수전에는 제주항공과 이스타항공, 에어인천 등 LCC가 관심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졌다.

아시아나항공 화물사업을 인수하는 항공사는 업계 2위로 올라서게 된다. 지난해 국적 항공사들의 국내·국제선 항공화물 운송량은 대한항공이 153만6천40t으로 가장 많았다. 아시아나항공(76만7천463t), 제주항공(11만9천970t), 티웨이항공(8만8천737t) 등이 뒤를 이었다. 어느 항공사가 인수하든 대한항공 바로 아래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인수로 얻는 이득만큼 위험도 크다. 아시아나항공 화물사업 인수 금액은 5000~7000억원으로 예상된다. 이와 함께 1조원가량의 부채도 떠안아야 한다. 이에 인수 후보로 물망에 오르고 있는 LCC는 각 사 최대주주의 자금력을 빌리거나 컨소시엄을 꾸려 인수를 추진해야 한다. 대한항공은 오는 10월 안으로 화물사업 매수자를 선정하고 EU 검토를 요청할 계획이다.

유럽 4개 노선 이관과 화물사업 인수가 끝나더라도 지각 변동은 계속될 전망이다. 현재 대한항공의 자회사인 진에어와 아시아나항공을 모기업으로 두는 에어부산·에어서울은 ‘통합 LCC’를 추진하고 있다. 대한항공이 미국으로부터 최종 합병 승인을 받을 시 이 3사가 결합된 LCC가 출범할 계획이다.

이 통합 LCC의 기체는 55대로 업계 1위인 제주항공의 42대보다 많다. 여객수 역시 1019만3000명으로 736만5835명의 제주항공을 넘어선다. 이는 현 아시아나항공의 기체수 68대에 버금갈 뿐만 아니라 901만4981명의 여객수보다도 많은 수치다. 업계에서는 통합 과정에서 기단 및 노선 등이 조정되겠지만 단순 합계로도 충분히 LCC 판도를 뒤흔들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CWN 김정후 기자
kjh2715c@cwn.kr

[ⓒ CWN(CHANGE WITH 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김정후

IT/Tech, 금융, 산업, 정치, 생활문화, 부동산, 모빌리티

뉴스댓글 >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