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술 후 탈구 막는 新 인공 고관절 반치환술 개발

손현석 기자 / 2024-08-13 08:13:37
이영균 분당서울대병원 정형외과 교수팀이 주도
▲ 관절낭 위쪽을 절개하는 기존 수술법(왼쪽), 관절낭 아래쪽을 절개하는 파이코 수술법. 사진=분당서울대병원

[CWN 손현석 기자] 분당서울대병원은 이영균 정형외과 교수팀이 고관절 수술 후 탈구 위험성을 효과적으로 예방하는 ‘파이코(PAICO) 고관절 반치환술’을 개발했다고 13일 밝혔다.

고관절은 직립보행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하는 기관으로 골절, 관절염 등으로 손상되면 일상생활에 큰 어려움을 겪게 된다. 고령자들은 낙상 등으로 인한 고관절 골절 시 일부 암보다도 사망률이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러한 고관절 골절은 특히 고령에서 뒤로 넘어지며 골다공증 등으로 약해진 허벅지뼈의 대퇴경부가 골절되는 형태로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이때 손상된 골두를 제거하고 인공관절로 교체하는 ‘인공 고관절 반치환술’을 받게 되는데, 가장 일반적으로 시행되는 고관절 수술 방식이다.

문제는 수술 범위가 전치환술에 비해 크지 않고 술기도 빠르게 발전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고관절 탈구 등 후유증의 위험이 존재한다는 점이다. 특히 고관절 탈구는 재수술을 받더라도 해결이 안 되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심각한 삶의 질 저하를 유발해 고관절 수술 후 대표적인 합병증으로 꼽힌다.

이 교수팀은 수술 후 탈구를 예방하기 위해 골두를 감싼 관절낭의 아랫부분을 절개한 뒤 인공관절로 교체하는 일명 파이코 고관절 반치환술을 개발했다. 관절낭 윗부분을 절개해 접근하는 기존 방식이 체중을 지지하는 관절 조직에 손상을 줘 상방 탈구를 유발한다는 점에 착안, 관절낭 중심에서 벗어난 아래쪽을 절개해 수술한다는 것이다.

연구팀이 지난 2021년 분당서울대병원에서 파이코 고관절 반치환술을 받은 환자들을 분석해 전국 7개 의료기관의 평균과 비교 분석한 결과, 수술 후 1년 내 탈구율은 0건으로 기존 수술법을 적용한 대조군(1.5%)에 비해 크게 감소했다.

이 교수는 “인공 고관절 반치환술에서 탈구를 막아주는 핵심은 수술 후 관절낭의 위쪽 근육과 연부조직이 빠르게 회복해 골두를 고정해주는 것”이라며 “새 수술법은 기존 수술법에 비해 위쪽 근육과 연부조직의 손상이 적어 탈구를 예방할 수 있다”고 밝혔다.

CWN 손현석 기자
spinoff@cwn.kr

[ⓒ CWN(CHANGE WITH 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손현석 기자

손현석 기자 / 산업2부장

산업2부 데스크입니다.

뉴스댓글 >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