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현재는 삭제된 우리금융그룹 우리다문화장학재단 홈페이지 손태승 이사장 인사말. 사진=CWN |
[CWN 김보람 기자] 손태승 전 우리금융그룹 회장 친인척 부당대출과 관련한 파장이 일파만파로 커지고 있다.
검찰이 부당대출 혐의로 우리은행 압수수색에 나선 가운데, 시민단체는 금융그룹 회장이라는 우월적 지휘를 악용한 사례로 사회적 파장을 우려하며 손 전 회장의 '우리다문화장학재단(재단)' 이사장 자격 박탈을 거론하고 나섰다.
우리금융 또한 재단 홈페이지에서 이사장 인사말을 삭제하면서 사실상 손 전 회장이 우리다문화장학재단 이사장직을 내놓을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28일 금융권에 따르면 재단은 2012년 우리은행을 비롯한 우리금융그룹 계열사들이 200억원을 공동 출연해 금융권 처음으로 다문화가족을 위해 설립된 공익 재단이다.
손 전 회장은 2012년 재단 설립 태스크포스팀(TFT) 총괄을 맡을 정도로 애정을 쏟으며 2018년부터 이사장직을 맡고 있다.
작년 12월4일 "후배들에게 부담을 줄 수 없다"며 우리은행 고문직에는 물러났지만 재단 이사장직은 현재까지 유지하고 있다. 임기는 내년 3월까지다.
손 전 회장 재단 이사장 자격 논란은 친인척과 관련한 부당대출 사태 여파가 확산되면서다.
우리은행은 앞서 2020년 4월3일부터 올해 1월16일 손 전 회장 처남 등 친인척 관련 차주를 대상으로 616억원(42건)의 대출을 실행했다.
문제는 해당 대출 중 350억원(28건)은 대출 심사와 사후관리 과정에서 통상의 기준·절차를 따르지 않았다는 점이다. 특히 지난달 19일 기준 전체 대출 중 269억원(19건)에서 부실(기한이익상실)이나 연체가 발생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에 전일 검찰은 손 전 회장 친인척 부당대출 의혹과 관련해 서울 중구 우리은행 본점은 물론 강남구 선릉금융센터 등 사무실 8곳, 관련자 주거지 4곳을 압수수색하며 강제수사에 돌입한 상태다.
이에 시민사회단체는 손 전 회장의 재단 이사장 자격 박탈을 주장하고 나섰다.
박순장 소비자주권시민회의 사무처장은 "재단 이사장은 사회적 청렴을 기본으로 하는 자리"라며 "부당대출 중심에 있는 손 전 회장의 재단 이사장 자격을 박탈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친인척 부당대출에 대해 손 전 회장의 입김이 없다고 보기 어렵고 지위를 남용한 선례로 남을 수 있는 만큼 면죄부를 주어선 안된다"고 강조했다.
강형구 금융소비자연맹 부회장은 "부당대출 자금은 금융소비자의 소중한 예금"이라며 "부실 등이 발생했다면 손실 또한 선량한 금융소비자가 부담해야 하는 구조"라고 설명했다.
이어 "이에 서류 진위 등 대출 심사는 매우 엄격하게 이뤄져야 하는데 우월적 지위인 전 회장이라는 영향력을 행사한 것으로 보인다"며 "도의적임 책임을 지고 재단 이사장 자리에서 물러나야 한다"고 피력했다.
CWN 김보람 기자
qhfka7187@cwn.kr
[ⓒ CWN(CHANGE WITH 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