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정통부, 美 국립핵안보청과 기술 협력 물꼬 트다

소미연 기자 / 2024-04-22 11:47:59
핵확산 저항성 최적화 사업 협력 위한 공동성명서 체결
한미일 정상회담 후속, 한미일 연구기관 간 공동연구 논의
▲이창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1차관과 질 흐루비 미국 에너지부 핵안보 차관 겸 국립핵안보청장이 22일 서울 종로구 광화문교보빌딩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대회의실에서 핵확산 저항성 최적화(PRO-X) 사업 협력을 위한 공동성명서를 체결하고 있다. 사진=과학기술정보통신부

[CWN 소미연 기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미국 국립핵안보청(NNSA)과 핵확산 저항성 최적화(PRO-X) 사업에 손을 맞잡았다. 22일 과기정통부에 따르면 이창윤 제1차관과 국립핵안보청장을 겸임하고 있는 질 흐루비 미국 에너지부 핵안보 차관이 만나 사업 협력을 위한 공동성명서를 체결하고 한미일 연구기관 간 공동연구 준비 현황과 향후 계획을 점검했다.

미국 에너지부 및 국립핵안보청은 연구용 원자로의 설계를 검토·개선해 핵확산 저항성을 강화하는 핵확산 저항성 최적화 사업을 주도하고 있다. 이에 과기정통부가 협력해 한국의 수출형 연구로 파일럿 모델의 설계를 핵확산 저항성 관점에서 검토하고 최적화할 계획이다. 양 기관의 공동성명서가 체결된 이날 한미 양국은 동 협력이 연구로 도입을 희망하는 국가들이 핵비확산 원칙 하 연구로를 도입하고 책임 있게 운영하는 데 기여할 것이라 기대한다고 밝혔다.

한미일 연구기관 간 협력은 지난해 8월 한미일 캠프 데이비드 정상회담 합의사항으로 미 에너지부(국립핵안보청) 소속 3개 국립연구소와 과기정통부 산하 출연연, 일본 연구기관 간 공동연구 및 인력교류를 추진하는 내용이다. 지난해 12월 프레임워크 체결에 이어 협력형태, 거버넌스 등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을 담은 협력각서(MOC) 체결이 곧 마무리될 계획이다.

한미 양국은 3국 연구기관 간 협력은 핵심·신흥기술 등 주요 분야에서 세계 최고 수준의 연구성과를 창출하고 상호 호혜적인 이익을 추구할 수 있는 좋은 기회라는 것에 공감하고, 프로젝트 및 수행기관 선정 등 후속 절차가 차질 없이 추진되도록 적극 협조하기로 합의했다.

이창윤 제1차관은 한미일 연구기관 간 협력뿐만 아니라, 한미 연구소 간 공동연구 및 인력교류 촉진 방안을 논의하고 양국 간 핵융합 협력의 중요성에 대해 공감대를 형성했다. 한미 정상회담 후속으로 양국 과학기술 정부기관과의 협력 채널을 확장하고 관련 사업을 적극 발굴 중이라는 게 그의 설명이다.

이 차관은 "미국 핵심 국립연구소, 국립핵안보청과 두 건의 협력사업을 착수하는 것은 과학기술 협력의 외연 확장과 질적 향상의 성과라는 큰 의미를 가진다"면서 "핵확산 저항성 최적화 협력이 양국 핵비확산 공조 체제를 강화하는 대표적인 모범사례가 될 수 있도록 미 측과 긴밀히 소통해나가겠다"고 밝혔다.

CWN 소미연 기자
pink2542@cwn.kr


[ⓒ CWN(CHANGE WITH 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소미연 기자

소미연 기자 / 산업1부 차장

재계/전자전기/디스플레이/반도체/배터리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뉴스댓글 >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