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수냉각유에 직접 서버 넣는 방식

[CWN 최준규 기자] SK텔레콤이 획기적인 서버 냉각방식 기술 검증에 성공했다고 14일 밝혔다.
이는 각종 서버를 전기가 안통하는 특수 냉각유 속에 넣어 냉각하는 차세대 열관리 방식인 '액침냉각' 기술이다.
SK텔레콤은 지난 6월부터 4개월 간 테스트를 거쳐 기존 공기냉각 대비 냉방전력의 93%, 서버전력에서 10% 이상이 절감돼 총 전력 37%가 절감되는 효과를 입증했다.
액침냉각 시스템은 효율적인 냉각과 전력 절감 효과로 글로벌 IT업계에서 관심을 끌고 있다. 이 시스템은 기존 공랭식 시스템과 달리 전기는 통하지 않고 열전도는 높은 특수 냉각유에 서버를 직접 담가 냉각하는 유냉식 시스템이다.
특수 냉각유로 직접 서버 장비의 열을 흡수하고 공기냉각에 필요했던 서버의 송풍기를 제거해 냉각은 물론 서버의 전력 절감도 가능하다.
또한 서버 주요 고장 원인인 습도, 먼지, 소음에도 자유로워 수명도 연장되며 서버 내부의 발열체인 CPU·GPU 뿐만 아니라 메모리·저장장치 등 시스템 전체의 온도를 안정적으로 유지시켜 준다.
이 액침냉각 시스템은 내년 중 인천사옥에 본격 적용할 예정이다.
조동환 부사장은 "이번 액침냉각 도입으로 상당한 수준의 에너지 비용 절감이 기대된다"며 "향후 이 기술 보급 확산을 통해 탄소중립 목표 달성에도 이바지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구글, 마이크로소프트(MS), 인텔 같은 빅테크 기업들도 액침냉각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
현재 액침냉각 분야 기술을 주도하고 있는 기업은 스페인 서브머, 미국의 GRC와 MGT, 네덜란드의 아스페리타스와 리퀴드스택 등이다.
최준규 기자 38junkyu@cwn.kr
[ⓒ CWN(CHANGE WITH 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