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임PM 주도 아래 ‘연구방향’ 전환 가능하기도

[CWN 우승준 기자] 정부가 내년부터 고위험·고수익형형 연구개발(R&D)모델인 ‘한계도전 프로젝트’를 가동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이종호)는 28일 “도전적 문제 정의와 연구자 주도의 다양한 접근 방식을 통해 혁신적 성과 창출을 도모하는 ‘한계도전 R&D 프로젝트’를 내년 본격 착수한다”고 밝혔다.
과기부가 언급한 한계도전 R&D 프로젝트는 국제사회의 흐름과도 궤를 같이 한다. 세계 주요국은 각국이 직면한 변혁적 기술의 선제적 확보를 위해 혁신·도전형 연구개발 지원 시스템을 도입하고 있다. 실제 미국의 DARPA(국방부 산하 방위고등연구계획국)과 영국의 ARIA(사업·에너지·산업전략부 산하 고등연구발명국), 일본의 IMPACT(혁신 연구개발 프로젝트) 등은 도전형 연구개발을 통해 GPS·자율주행차 등 변혁적 성과를 냈다.
과기부도 혁신‧도전형 R&D 추진을 위해 올해 초부터 ‘한계도전 R&D 프로젝트’를 기획했다. ‘한계도전 R&D’는 책임PM(종합관리자)이 문제 정의 및 연구테마 발굴부터 기획, 과제 관리, 평가 등 연구개발 전반에 주도적으로 참여하는 게 핵심이다. 본격적으로 연구가 착수되더라도 책임PM의 주도적 관리 아래 연구방향 전환이 유연하게 이뤄지는 것도 특징이다.
과기부에 따르면, 내년에는 3개 기술 분야(바이오·기후에너지·재난대응)의 책임PM이 선정한 연구테마 공고와 과학기술적 해결 의견수렴, 기술제안토론회가 순차적으로 개최될 예정이다.
노경원 과기부 연구개발정책실장은 “한계도전 R&D는 우리나라 연구현장이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으며 유연하고 선진적으로 개편되도록 하는 R&D 혁신의 출발점”이라며 “책임PM, 참여 연구자가 변혁적 원천기술을 확보해 혁신의 핵심주체로 성장할 수 있도록 정책적‧제도적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
CWN 우승준 기자
dn1114@cwn.kr
[ⓒ CWN(CHANGE WITH 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