높아지는 금리 동결 가능성…한은, 23일 기준금리 결정

신현준 기자 / 2025-10-20 14:43:16
부동산·가계부채 부담이 변수…이창용 총재 ”금리 인하 신호가 부동산 가격 자극 우려”

▲사진 출처=뉴시스

 

한국은행(이하 한은) 금융통화위원회(이하 금통위)가 기준금리 조정 일자를 결정했다고 20일 밝혔다.

한은 금통위는 오는 23일 통화정책방향회의를 열고, 현재 2.50%인 기준금리를 동결할지 조정할지를 결정키로 했다. 이와 관련, 금리 동결 가능성이 높게 점쳐지는 상황이다. 앞서 기준금리는 올해 상반기 두 차례 인하로 3.0%에서 2.50%까지 낮아졌으며, 7월과 8월 회의에서는 연속으로 동결한 바 있다.

이에 금융가에선 이번 회의에서도 한은이 금리를 동결할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있다. 정부가 강도 높은 규제를 담은 10·15 부동산 대책을 발표한 만큼, 한은은 그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시간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기된다. 실제 한은은 지난 6월 첫 부동산 대책 이후 금리를 움직이지 않고 있다.

지난 8월 당시엔 민간소비와 건설투자 등 내수시장이 부진하고, 미국의 관세 정책 불확실성으로 수출 전망도 흐린 상황이었다.그럼에도 한은이 금리 인하 카드를 쉽게 꺼내지 못한 이유는 ‘수도권 주택가격과 가계부채’가 여전히 상승세를 보이고 있기 때문이란 해석이 나온 바 있다. 당시 계부채는 7월에 2조 2천억 원 증가해 전월(6조6천억 원)보다 증가폭이 둔화했지만, 8월에는 다시 4조2 천억 원으로 확대됐다. 또한 수도권 집값은 6·27 부동산 대책 여파로 7월 한때 상승세가 둔화했으나, 8월 들어 다시 상승폭이 커졌다.

이창용 한은 총재는 부동산 가격에 미칠 영향을 고려해 신중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는 풍문이다. 그는 지난 9월 통화정책방향 결정 관련 기자회견에서 “금리 인하 신호가 부동산 가격을 자극할 수 있다”고 직접 언급했다. 또 지난 18차 정기회의에서도 “정부의 가계부채 및 부동산 대책 이후 가계대출 증가세는 둔화했지만, 수도권 주택가격 상승 기대는 여전히 유지되고 있다”고 경고한 바 있다.

한은은 지난달 25일 발표한 금융안정상황 보고서에서도 “금융 여건 완화 과정에서 금융 불균형이 다시 확대될 가능성이 있어, 당분간 거시건전성 정책의 강화 기조를 유지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다만 건설경기 부진의 장기화와 미국 행정부의 관세 정책 등으로 내수시장의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금리 인하 필요성을 주장하는 목소리도 함께 높아지고 있다. 미 연방준비제도(Fed)가 지난달 16일 열린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연내 두 차례 추가 인하 가능성을 시사하면서, 국내에서도 10월 한은이 인하를 단행할 수 있다는 전망이 그 배경이다. 이는 미국과의 금리 격차 축소를 통해 외환시장 변동성을 줄일 수 있다는 기대와 맞닿아 있다.

금융권의 한 관계자는 20일 과의 통화에서 "금리 인하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주변 곳곳에서 힘을 얻고 있지만, 현실적으론 동결이 '정배'라고 생각한다"라고 말했다.

 

[ⓒ CWN(CHANGE WITH 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신현준 기자

IT/Tech, 금융, 산업, 정치, 생활문화, 부동산, 모빌리티

뉴스댓글 >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