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령·지침·판례 대신 검색해서 정보 찾아주기도
내년 일부 중앙부처·지자체 공무원 대상 도입

[CWN 손태한 인턴기자] 행정안전부(행안부)는 내일(14일) 정부세종청사에서 개최되는 제25회 워크 스마트 포럼에서 'AI(인공지능) 행정지원 서비스 시범 개발' 사업 성과를 발표한다고 13일 밝혔다.
AI가 공무원들을 대신해 보도자료 초안을 작성해주고 법령·지침을 검색해주는 서비스가 내년 일부 중앙부처와 지방자치단체를 대상으로 시범 도입 된다는 내용이다.
이 사업은 공무원들의 행정 업무에 AI를 도입하기 전 국내 기술 수준과 실현 가능성 등을 사전에 검증하기 위해 추진된 사업이다.
지난 4월 행안부가 추진 방안을 마련한 이후 7월 서비스 개발을 시작해 11월 최종 점검을 마쳤다. 네이버·KT·LG·SKT·솔트룩스 등 국내 기업이 이번 사업에 참여했다.
행안부에 따르면 AI를 행정 업무에 도입할 때 공공성과 보안이 중요한 만큼 문서 작성이나 정보 검색 등 단순하고 반복적인 업무에만 적용할 수 있는 서비스를 개발한 것으로 알려졌다.
예를 들어 공무원이 주요 키워드를 입력하면 이를 바탕으로 AI가 문서 초안을 작성하고, 공무원은 이를 검수·보완해 문서 작성을 완료하게 된다.
또 공무원이 법령·지침·판례 등을 확인해야 할 때 AI가 정보를 대신 검색해서 답변해준다.
올해 시범 개발된 서비스는 내년부터 시범 운영된다.
지자체와 중앙정부에서 많이 사용하는 정부 업무관리 시스템인 '온나라 시스템'에도 적용될 예정이다.
행안부는 이번 서비스 개발로 공무원 업무에 시간이 단축돼 행정의 질이 높아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올해 이 사업 실증 결과를 바탕으로 정보화 내년 정보화전략계획(ISP)을 수립할 예정이다.
특히 AI 기술을 정부 업무관리 시스템에 적용해 개편하고 장기적으로 범정부 AI 공통기반 플랫폼을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이상민 행안부 장관은 "AI 기술을 행정업무에 적용해 국민에게 더욱 촘촘하고 품질 높은 행정·복지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라며 "앞으로도 AI·클라우드 등 디지털 기술을 적극 활용해 일 잘하는 정부를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편 이번 워크 스마트 포럼에는 구글, LG, SKT, 솔트룩스 등 민간기업이 참여해 업무혁신 관련 다양한 사례를 공유할 예정이다. 포럼은 행안부 공식 유튜브 채널을 통해 14시부터 생중계된다.
CWN 손태한 인턴기자
sonth@cwn.kr
[ⓒ CWN(CHANGE WITH 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